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감동스러운알알이51
감동스러운알알이51

매를써가면서 훈육을안하고싶지만 정말쉽지않아요

원하는게 맘대로안되면 들어눕기도하고 짜증도내고 소리도지르고해요.자기가원하는걸달라고 표현해을때바로안주면 짜증내고 들어눕고 던지고밀치고ㅠ말을못하다보니 원하는겔요구했을때 모를때가많아요.주위에있는것들 줘봐도 모두다싫다하고 뭔가를원하는거니까 될수있음 짜증안내고 화안내면서 들어준려하는데 결국은 짜증과 심할때 궁디팡팡까지하게되네요ㅠ매를써가면서 훈육을안하고싶지만 정말쉽지않아요;나름안되는행동은 단호하게한다고하는데 ㅡㅡ심하게때쓸땐 무관심도해보고 혼자울라고 두고 자리를 피해도보고하는게 이런행동들이 아이에게더않좋은걸까요ㅠ알수가없어요.어찌해야되는건지ㅡㅡ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를 키우다보면 하루에도 회초리를 들고 싶은 때가 수없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아이의 정서적 안정을 위해서는 오래 걸리더라도 훈육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매를 들어서 아이를 때린다고 하면

    아이의 그 행동이 바로 개선될까요?

    아이는 그 순간이 무섭고 공포스럽기 때문에 순한 양처럼 고분고분해지기는 할 것입니다.

    아이에게 매를 들고나면 부모 마음도 좋지 않고

    아이와의 관계도 멀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매를 들어서 우리 엄마, 아빠는 무서운 사람이야! 라는 것을 각인시켜 줄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가능하면 아이의 잘못된 행동, 즉 관찰한 행동을 말해주고

    부모님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그러고 나서 앞으로 어떻게 해주면 좋겠는지를 부탁하며 마무리하는게

    매를 드는 것보다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정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ㅇㅇ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행동을 이해하고 대처하는 것은 정말 힘든 일이죠. 아이가 원하는 것을 표현하는 방식이 성숙하지 않아서 짜증이나 공격적인 행동을 보일 때, 부모로서 어떻게 반응할지가 중요합니다.

    몇가지를 기억해보세요~

    감정 이해하기: 아이가 원하는 것을 바로 받을 수 없을 때 느끼는 실망감이나 불만을 인식해 주세요. 아이에게 “지금은 이걸 줄 수 없어서 안타깝다”라고 말해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대체 표현 방법 가르치기: 원하는 것을 요구할 때, 다른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예를 들어, “이건 지금 안 돼. 대신 이거는 어때?”라고 제안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일관된 규칙 세우기: 아이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서 짜증을 부리는 것이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규칙을 세우고, 그 규칙을 일관되게 지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긍정적 행동 보상하기: 아이가 원하는 것을 잘 표현했을 때 칭찬해주거나 보상해주는 방법도 효과적입니다. “너가 이렇게 말하니까 정말 좋았어!”라고 말해주면 아이는 좋은 행동을 반복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자신의 감정 관리하기: 부모님도 감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짜증을 내더라도, 부모가 감정을 잘 조절하면 아이도 차분해질 수 있습니다. 필요할 때 잠시 자리를 피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아이와의 소통이 점차 나아지길 바랍니다. 힘내세요!

    감사합니다..! ; )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말씀하시는것과 같이 아이들은 성장을 하면서 떼를 쓰는게 늘어날겁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초창기에 아이를 잘 훈육해주셔야 되겠습니다. 아이들이 뗴를 써서 부모님께서 이를 들어준다는것을 인식하게 된다면 아이들의 뗴는 점점 더 심해진다고 합니다. 따라서 우리 아이들을 위해서 부모님께서 잘 판단하셔서 노력을 해주시는게 중요하다고 보입니다. 처음 버릇을 잘 들여줘야 아이들이 뗴를 쓰지 않고 부모님과 협의를 한다는 점 명심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매를 쓰는건 아닌거 같습니다~매를 쓰면 아이가 체벌에 대한 안좋은 생각을 가지게되고 나중에 트라우마가 될수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짜증과 반항 행동은 흔히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매를 쓰지 않고 훈육하려면, 우선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인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 화가 나서 힘든 거구나"라고 말해주면 아이는 이해받고 있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아이가 원하는 것을 표현하도록 도와주기 위해 그림이나 단어 카드를 활용해 선택하게 하거나,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면 좋습니다.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아이가 원하는 것을 잘 표현했을 때 칭찬하고 보상해주면 그 행동을 반복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무관심을 보이거나 잠시 방치하는 방법도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너무 자주 사용하면 아이가 외로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대신 차분해질 시간을 주고, 그 후에 다시 이야기하는 방식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부모도 힘든 상황에서 감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필요할 때 휴식을 취하거나 다른 성인과 대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아이의 행동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정말 말을 듣지않을때는 우선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주시면서 공감해주시는게 좋을거같습니다 그리고 아이와 마음을 터놓고 대화를 하시면 도움이 될거 같아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주세요

    그리고 아이가 원하는 것을 해줄 수 없다면, 대안을 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가 짜증을 부릴 때는 감정 조절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시고, 말로 올바르게 표현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세요

    지나치게 화를 낼때는 잠깐 멈추고, 아이가 차분해 질때까지 기다립니다.

    그리고 일관성 있게 반응을 해주세요.

    나쁜 행동에는 즉시 대처해주시고, 긍정적인 행동에는 즉시 칭찬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칭찬을 많이 해주셔서 긍정적인 행동이 많이 늘어날 수 있도록 해주세요.

    체벌은 당장에 나쁜 행동은 멈추게 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보았을때, 반발심을 불러 일으키고, 부모와의 신뢰 관계를 악화 시킴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