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세무
프리랜서 원천징수 vs 개인사업자... 어떤게 유리할까요?
프리랜서를 하고 있는 프로그래머입니다
프리 시작한지는 1년이 조금 넘었고, 현재 3.3% 제외한 금액을 받고 있습니다
주위에 개인사업자로 하시는분들과 저처럼 원천징수하시는분들이 있는데 어떤 방식이 유리할까요?
금액이 크면 개인사업자가 유리하다고는 하는데...
개인사업자로 했을 경우가 유리한 경우를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실제 사례를 예로 들어주시면 더더욱 감사하구용~
2022년 새해
호랑이 기운받으셔서 대박나시길 기원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종합소득세는 차이가 없습니다. 사업자등록자 혹은 프리랜서 모두 실제 발생한 수익에서 비용을 차감한 장부를 반영하여 종합소득세 신고를 합니다.
단지, 사업자등록을 할 경우 세금계산서 발급 의무 및 부가가치세 신고 의무가 있는 것입니다. 별도의 사업장과 직원이 없는 프리랜서임에도 굳이 사업자등록을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영 세무사입니다.
일반적으로 3.3% 사업소득자는 규모가 크지 않을 때나 프리랜서의 경우 해당하며 신고가 간편한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없다는 등 단점이 있을 것입니다. 규모가 커질수록 세금계산서등 거래를 해야할 경우가 많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것이 좋기 때문에 사업자등록을 하는것이 유리한 것으로 사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