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도롱이
도롱이

김, 미역,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는 모두 원생생물인가요?

일단 김이랑 미역, 다시마는 원생생물이자 해조류로 알고 있어요.

그렇다면, 해조류가 모두 원생생물인 건지,

아니면 해조류이지만, 원생생물은 아닌 생물도 있는 건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조류(algae)는 생물을 분류하는 기준이 더 세분화 되면서 포함되는 생물 그룹이 나뉘게 되었습니다.

    아직 흔히 조류라는 명칭을 쓰지만 엄밀히 현재는 정확한 분류균은 아닙니다.

    조류에 포함되는 종들 중 남세균(남조류)을 제외한 나머지의 종들은 모두 진핵생물 역의 하위그룹인 원생생물계에 속하게 되었습니다.

    원생생물계는 동물,식물,균류를 제외한 진핵생물들을 말합니다. 이 계는 나중에 더 세분화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남세균(남조류)는 조류에 묶이지만, 진핵생물이 아닌 원핵생물로 세균역에 속합니다.

    광합성을 하는 세균입니다.

  • 네, 맞습니다. 김, 미역, 다시마는 원생생물이며 해조류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모든 해조류가 원생생물인 것은 아닙니다.

    해조류는 크게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로 나뉘는데, 이 중 녹조류와 홍조류는 원생생물에 속합니다. 반면에 갈조류는 식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해조류는 크게 원생생물 해조류와 식물 해조류 두 가지 그룹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원생생물 해조류는 대표적으로 녹조류와 김, 미역, 다시마 포함하는 홍조류가 있습니다.

    식물 해조류에는 톳이나 감태 등을 포함하는 갈조류가 있습니다.

    원생생물 해조류는 진핵세포로 구성된 단세포 또는 다세포 생물이며, 광합성을 통해 스스로 영양을 만들 수 있습니다.

    식물 해조류는 진핵세포로 구성된 다세포 생물이며, 광합성을 통해 스스로 영양을 만들 수 있습니다. 육상 식물과 마찬가지로 세포벽이 있으며, 섬유소로 구성된 세포골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기관과 같은 복잡한 구조를 가진 종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모든 해조류는 진핵세포 중 '원생생물'에 속합니다. 해조류(seaweed)란 일반적으로 바다에 사는 광합성 생물 중, 바위나 펄 등에 부착하여 자라는 눈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큰 다세포의 무리를 말하는데요, 미역, 김, 다시마 등이 해조류에 속하며 광합성 색소에 따라 크게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로 구분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해조류는 주로 해양 환경에서 발견되는 다세포 식물로서 원생생물에 해당됩니다. 대부분의 해조류는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해양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일부 해조류는 원생생물이 아닌 다른 분류군에 속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미세조류나 일부 담수생물 중에서 해조류로 분류되지만 원생생물이 아닌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 해조류는 원생생물이 아니라 다세포 생물입니다. 해조류는 크게 갈조류, 홍조류, 녹조류로 구분되는데, 이들은 모두 진핵생물에 속합니다. 즉, 김, 미역,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는 원생생물이 아니라 다세포 진핵생물입니다. 원생생물은 단세포 생물로, 해조류와는 다른 분류군에 속합니다. 따라서 해조류 전체가 원생생물인 것은 아니며, 원생생물과는 구별되는 다세포 진핵생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