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관리
소고기와 생선(조기)은 단백질 구조가 다른가요? 생선이 소화가 잘 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적색육도 적당히 섭취하면 아미노산과 철분 등 단백질 공급원으로 좋다고 하지만 잘 소화가 안됩니다.
반면 생선은 구워서 먹든 회로 먹든 소화가 잘 되는 특징이 있는 거 같습니다. 생선이 고기보다 소화가 잘 되던데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영양전문가입니다.
소고기와 생선의 단백질은 구조가 다르긴한데요
이게 결국 아미노산이 모여서 만든 단백질이라 아미노산 단위로 보면 차이는 있어도 유사하답니다.
즉 구조는 다르지만 둘다 비슷한 아미노산을 가졌다입니다.
생선이 소고기보다 소화가 잘 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단백질 구조와 지방 함량의 차이 때문입니다. 소 고기를 포함한 적색육의 단백질은 근섬유가 굵고 촘촘하게 엮여 있어 소화 효소가 분해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적색육은 미오글로빈 함량이 높고, 동물성 지방(포화지방)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아 소화 과정에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필요로 합니다. 반면 생선의 단백질은 근섬유가 가늘고 배열이 느슨하며, 콜라겐과 같은 결합 조직이 적어 소화 효소가 쉽게 접근하고 분해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생선은 불포화지방산(특히 오메가3)의 비율이 높아 소화 부담이 적고, 이러한 지방은 소화 과정에서 염증 반응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적, 영양적 차이로 인하여 생선이 소고기보다 소화가 용이하게 느껴지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