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노인 빈곤율이 어느 정도의 수준인가요?
정말 우리나라는 급속도로 초고령화 사회로 치닿고 있는 것 같습니다.
노인복지가 그 어느 시대보다도 중요한 시기인데
대한민국의 노인 빈곤율이 어느 정도의 수준인가요?
안녕하세요. 고동열 사회복지사입니다.
많이 높습니다. 국가에서 지원하기도 하지만..
주택, 의료 등 각 분야에서 최상위에 선정되어 그 돈을 합해도 몇십만원 수준입니다.
그 돈으로는 정말 죽지 않고 연명 하는 정도의 수준입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사회복지사입니다.
대한민국의 노인 빈곤율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 입니다.
2018년 기준 시장소득 기준 노인빈곤율은 43.4%로 OECD 평균 (13.1%)의 3배 이상 입니다.
노인빈곤 문제는 저출산과 고령화 가속화로 인해 심화되고 있으며 공적 연금 제도의 미성숙과 노동 시장에서의 고령자 배제가 주요 원인 입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사회복지사입니다.
대한민국의 노인 빈곤율은 2년 연속 악화되었다고 합니다. 2023년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4명은 빈곤층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3년 가처분 소득 기준으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은 38.2%로 전년 대비 0.1%p 증가했습니다. 그간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2019년 41.4%, 2020년 38.9%, 2021년 37.6%로 꾸준히 감소하다가 2022년 38.1%, 2023년 38.2%로 다시 높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2년 연속 상승세라고 합니다. 고령층으로 갈수록 빈곤율은 높아졌는데요. 66 ~75세 노인 소득 빈곤율은 31.4%이지만, 76세 이상은 52%로 2명 중 1명 이상이 빈곤층에 속합니다. OECD 한눈에 보는 연금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의 66세 이상 노인 인구의 소득 빈곤율은 40.4%로 OECD 회원국 평균보다 3배 가까이 높아졌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사회복지사입니다.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이 점점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OECD 국가 가장 높은 수준이며 평균 약 13~15%보다 높은 약 40% 이상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의 사각지대와 부모 부양 등의 악화 및 의료기술 등의 원인으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노인인구 비율이 증가하면서 고령화가 진행되어 빈곤문제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2025 대한민국 노인빈곤율이 궁금한 것 같습니다.
전체적으로 40% 육박하는 수준이라고 합니다.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다고 합니다 .
65세 이상의 39.8%가 빈곤선 이하의 소득인 상대적 빈곤율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용 사회복지사입니다.
지금 대한민국의 노인빈곤율은 OECD 기준 최상위권에 속합니다. 급속한 노령화 사회로 진입하여 준비없는 노년을 맞이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