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오는날 지렁이가 밖으로 나오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비오는 날이 되면 도로위에 지렁이가 많이 올라오잖아요.
어떤 이유로 지렁이가 흙속에서 위로 올라오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지렁이가 왜 올라오냐면 호흡이 힘드니 호흡을 하려고 올라오는 것입니다. 피부를 통하여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지렁이는 사람처럼 폐가 없는 동물입니다.
이러한 호흡을 위해서는 피부가 촉촉하여야 하는데 비가 내리면 흙이 습해져서 지렁이가 편하게 호흡할 수 있는 그러한 환경이 되는 것이죠, 건조한 환경의 지렁이는 대부분 피부가 말라벼러 죽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이러한 환경이 될 때 지렁이는 먹이를 찾아 이동을 하여야 합니다. 넓디 넓은 곳으로 이동하는 것입니다.
습한 날씨는 안전하게 피부가 습한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는데 이러한 환경은 이동 뿐만 아니라 짝짓기를 할수 있는 좋은 상황입니다.
지렁이 입장에서 비오는 습한 날씨는 엄청 불타는 클럽과 같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지렁이도 익사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적당히 습기가 있는 정도만이 가장 베스트인 조건이 될 것입니다.
렁이가 비오는 날 밖으로 나오는 데에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지렁이는 피부로 호흡을 하는 동물입니다. 땅 속의 산소가 부족해지면, 지렁이는 피부를 통해 직접 공기를 흡입해야 합니다. 비가 오면 땅 속에 물이 가득 차 공기가 부족해지기 때문에, 지렁이는 숨을 쉬기 위해 밖으로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몸이 큰 지렁이는 작은 지렁이보다 산소가 더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가 오는 날 더욱 활발하게 움직입니다.
그리고 비가 오면 땅 표면에 유기물이 녹아내려 지렁이의 먹이가 풍부해집니다. 지렁이는 낙엽이나 썩은 동식물 등을 먹이로 하며, 비가 오는 날에는 이러한 먹이를 찾기 위해 땅 밖으로 나옵니다. 또한, 비가 땅을 부드럽게 만들어 지렁이가 이동하기 더 용이해져 먹이를 찾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지렁이는 햇빛과 건조한 환경에 약하여 평소에는 토양 아래에서 생활합니다.
흙속의 유기물을 먹어 살아가기에 밖으로 나올 일이 많이 없습니다.
지렁이는 물 속에서는 숨을 쉴 수 없는 생물입니다.
비가 오게되면 지렁이가 있는 토양 아래의 굴까지 물이 차게되고 그곳에서 더이상 숨을 쉴 수 없기 때문에 밖으로 나오게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지렁이들이 땅 속에서 물에 잠기거나 땅이 너무 축축해져서 호흡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지표로 올라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비가 내리면 지표가 축축해져서 지렁이들이 땅 속에서 이동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지표로 올라오는 것으로도 설명됩니다. 이 외에도 지렁이들이 물에 노출되어 성적인 활동을 하기 위해 지표로 올라오는 이론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비 오는 날에 지렁이가 토양 밖으로 나오는 이유는 폐호흡을 하는 인간과는 다르게 지렁이는 피부 호흡을 하는 생명체이기 때문입니다. 평소에는 토양 내부에도 공기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산소를 공급받을 수 있지만 비가 내리고 토양 내부의 공기층이 물에 잠기게 되면서 공기가 부족해지면서 산소를 공급받기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지렁이는 피부 호흡을 하기 위해서 땅속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용학 전문가입니다.
비가 오면 땅 속에 물이 들어차게 되고, 지렁이는 이를 피해 위로 올라오게 됩니다. 이 후 다시 들어가면 좋지만 지렁이가 길을 잘못 들어 흙에서 돌이나 도로로 빠져나오게 되면 방향을 찾지 못해서 도로에서 발견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비가 오면 지표의 공기가 산소를 풍부하게 함께 가지고 있게 되어 지표 아래에 숨어 있던 지렁이들이 호흡을 위해 지표 위로 올라오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비가 오면 지렁이가 땅 밖으로 나오는 이유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비로 인해 땅속의 산소량이 줄어들고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지렁이가 숨을 쉬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지표로 올라오게 됩니다. 또한, 지렁이는 몸의 대부분이 물로 이루어져 있어 건조해지는 것을 견디기 힘든데, 비가 오면 지표면이 촉촉해져서 지렁이가 활동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만들어지므로 땅 밖으로 기어나오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일부 과학자들은 지렁이가 비에 의한 진동을 포식자의 움직임으로 착각하여 재빨리 지면으로 도망쳐 나오는 것으로 추측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지렁이가 비오는 날 밖으로는 나오는 이유는 생존하기 위해서입니다. 지렁이는 피부 호흡을 하기 때문에 비가 내리면 흙 속에서 호흡을 하기 힘들어 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