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에서 영화 6천원 할인권을 188만장 추가로 배포한다는데 저런 지원금들이 영화업계의 제작비용에 대한 인플레이션을 야기할 수도 있나요?
문제부에서 1차 영화할인권에 이은
2차 영화할인권을 188만장 추가로 배포한다고 하던데
영화산업은 일반 소비재 산업과
조금 다른 느낌입니다
영화할인권이 영화제작비용에 대한
비용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그 얘기 들으니까 약간 헷갈릴 수 있는데요. 영화 할인권이 풀린다고 해서 바로 제작비가 오르지는 않습니다. 왜냐면 그건 관객 쪽 수요를 늘려주는 정책이라서 티켓 판매에 숨통이 트이는 효과는 있거든요. 제작비는 보통 배우 출연료나 촬영 장비 임대료 같은 고정된 구조에서 결정되니까 단기간에 지원금 때문에 막 튀지는 않아요. 다만 장기적으로 보면 관객 수가 안정적으로 보장된다고 업계가 느끼면 제작사들이 더 공격적으로 투자하거나 스타 캐스팅에 돈을 쓰려는 경향은 생길 수 있겠죠. 그래서 직접적인 인플레이션 압력이라기보다는 간접적인 심리적 요인이 될 수는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영화관람 비용이 비싸니 사람들이 극장을 안가죠 그래서 활성화를 위해서 할인쿠폰을 풀고 있습니다
한국영화 제작해서 요즘 제작비 건지기도 힘든게 대부분이고 사람들이 영화 관람을 해야 매출이 발생해서 제작비라도 건지는거죠 영화관람 할인권이 비용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긴 요즘 영화 산업이 폭망이라서 개인적으로 그런 일은 없을거 같단 생각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영화 6,000원 할인권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런 지원금으로 인해서 인플레이션이 야기되진 않을 것입니다.
실제로 돈이 풀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아무래도
일시적이기에 영화제작비용에 대한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적지 않나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영화 할인권은 관람료 인하 효과라 단기 소비 촉진이 목표입니다. 제작비 자체를 끌어올리지는 않고 다만 수요가 갑자기 늘면 인기작 티켓값이 간접적으로 오를 수 있으나 본질적 제작비 인플레와는 큰 관련이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영화지원금으로 영화제작비용인플레이션을 야기할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저건 수요를 견인하는것이지 비용쪽과 관련이 없습니다 수요가 늘어나면 영화제작의 활성화를 노린것뿐입니다 이로인해서 영화소비재단가의 수요증가와 연관이있지 비용과는 관련이 적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문체부의 영화 6,000원 할인권 188만장 추가 배포(9/8부터)는 1차 배포 미사용 잔여분 재배포로,
관객 1.8배 증가 효과를 보였습니다.
영화산업은 고정비용(제작비) 중심으로, 할인권이 수요를 늘려 매출을 높이면 제작 투자 확대 가능성
있지만, 직접적 제작비 인플레이션 유발은 제한적입니다.
오히려 단기적 가격 하향 압력 발생하고 장기적으로 산업 활성화가 비용 상승을 초래할 수 있으나,
일반 소비쿠폰처럼 쿠폰플레이션 수준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극장에 대한 매출상승만을 이끄는것이고 단기부양책정도의 효과만 있을것 같습니다.바로 제작비에 인플레이션을 가중시키지는 않을것입니다.믈론 이로인해 장기적으로 영화관관람객이 늘면 제작비로 처지하는 감독,배우등의 인권비와몸값이 상승할수는 있을것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번에 정부에서 할인권을 배포하는 것은 침체된 영화산업을 살리기 위한 방안인데, 영화업계 제작비용 인플레이션 발생 우려는 아주 적은 편이고,(거의 없을 것으로 전망하며) 영화산업 회복 및 내수 진작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