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찬투정하는 아이 어떻게 변화시키나요?
우리애는 반찬투정없이 다 잘먹어서 너무 예뻐 라고 말한지 반년도 안되서
올들어 계속 반창투정이 심해요
잘먹던 버섯,가지도 안먹고 고기만 달라하고 초록색 들어간 건 우선 입에 안대다보니 국을 끓여도
파를 넣을수가 없어요
당연히 없던 변비도 생겼어요 아이한테 잘 타이르고 음식도 같이 만들어보고 해도 발전이 없는데
반찬투정하는 아이 매일 과자랑 아이스크림만 달라는 아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여러가지 반찬 등을 잘 먹고
편식을 하지 않으면 스티커를 준다고 하시고
이런 스티커를 모아서 아이가 좋아하는 선물 등을
사주신다면 편식 습관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일단 간식을 줄여주세요. 그리고 식판을 사용하는게 도움이 됩니다. 다아이가 좋아하는 반찬과 잘 안먹는 반찬 2가지를 소량으로 식판에 담아서 주시면서 조금씩 먹도록 하는게 도움이 됩니다.
또 아이가 싫어 하는 영양가 있는 음식(예를 들어 몇치볶음)을 함께 넣어서 주먹밥을 준비해보시는것은 어떨까요?
한번 먹여보고 안에 들어가는 내용물을 바꿔 보시는 방법으로 조절하시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새로운 사람과 친해지려면 시간이 필요합니다. 마찬가지로 음식도 그렇습니다.
처음보는 음식을 바로 먹이려고 하지 말고 식재료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만지게 하는 등
시간을 주세요. 처음엔 냄새를 맛거나 약간 맛 정도만 느끼게 해주고 그 다음 조금씩
씹어보게 하는 단계를 거쳐 저항감을 줄이세요.
또한, 목표를 적게 새우고 함께 음식을 준비하는 시도를 해보세요
칭찬을 자주 해주시고 기운을 북돋아 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잘먹는다면 스티커를 붙이거나 하며서 보상을 주는것도 좋습니다.
과자랑 아이스크림 섭취가 많다면 당연히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은 거부감이 들수있기에
이러한 자극적 음식부터 줄여주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함께 요리를 하는 것도 좋을 듯 싶습니다.
함께 마트에 가서 장을 보고, 야채를 다듬고, 요리 하는 과정에서 아이가 성취감도 생기며, 자신이 만든
요리는 남기지 않고 다 먹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질문에 답이 있어 보입니다.
과자랑 아이스크림을 좋아하는 아이라면, 그것을 이용하는 방법이 최고입니다.
반찬 투정을 하지 않았을 때 아이에게 간식을 보상의 의미로 급여해 보세요.
반찬투정은 어릴 때 잡지 않으면, 성장할 수록 고치기 힘들어 집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편식 교육에 정답은 없는 것 같습니다.
결국 부모가 인내심을 갖고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야 합니다.
편식하는 재료를 여러가지 방법으로 요리해서 주기도 하고 아이가 재료를
인식할 수 없는 방법으로 요리하는 것도 해보세요.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장기에 골고루 영양소를 섭취해야하기때문에 좋아하는 음식만 주는 것은 좋지 않은 방법입니다
그렇다고 싫어하는 음식만 주면 아이가 밥을 먹지 않기때문에 야채등은 잘게 잘라서 아이가 함께 먹을 수 있도록 요리해주시는 것이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또한 과자나 아이스크림은 식사 후에 주도록 하는 것을
습관화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편식이 심하다면
어떻게 야채를 맛있게 해주어도
아이는 먹지않을 것입니다
그렇기때문에 야채를 잘게 다지거나
양념으로 색을 감춰서
고기나 좋아하는 반찬과 먹도록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갘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익숙하지 않은 것이 입에 들어오는 것에 대한 거부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런데 아이들은 구강 감각이 성인에 비해 더 예민합니다. 어떤 아이들은 기질적으로 물컹물컹하거나, 질감이 독특하거나 향이 강한 음식에 대해서 거부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싫어하는 음식은 횟수와 양을 조금씩 늘리며 적용할 시간을 주는 게 좋습니다. 새로운 음식은 한 번에 한 가지만 준 뒤 반응을 살피고 좋아하는 음식과 함께 주는 등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