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힘찬잠자리274
힘찬잠자리27422.04.19

손가락 열상 봉합 후 관리 (스테리스트립,통증등)

안녕하세요

-3월22일 요리 중 칼에 베인 열상
-3월23일 봉합
-3월30일 실밥제거

병원에서 봉합,실밥제거후 테이핑을 하라는 지시가 있었습니다.
병원에서는 간호사분이 가로로 테이프를 붙여주었는데,
정보를 찾아보니 상처에 수직방향으로 보통 테이핑을 하는 경우가 많은것 같은데
상처 모양이 직선이 아니어서 질문드립니다

질문
1. 아직 상처부위가 욱씬거리고 가끔 통증이 있습니다.
한달정도 다친 손가락을 거의 안써서 지금 손가락이 안굽혀지는데, 손가락을 조금씩 움직이는게 좋을까요?
2. 봉합부위를 움직이면 봉합흉터에 자극이 가서, 흉터가 더 심해질 가능성이 있나요?
3. 스테리스트립은 사진으로 봤을때 3번째 사진처럼 가로로 붙이는게 맞을까요
아니면 4번째 사진처럼 세로로 붙이는게 맞을까요?

흉터가 최대한 남지 않도록 가능한 조치가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1.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조금씩 움직여주어 재활 운동을 해주는 것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다만 혹시라도 환부가 많이 아프다거나 벌어지려는 듯한 소견이 보이면 즉시 중단하셔야 하겠습니다.

    2.제대로 봉합 부위가 아물었다면 흉터가 심해질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3. 스테리스트립은 장력을 주어 열상 부위를 붙여주기 위한 역할이기 때문에 상처에 수직으로 붙이셔야 겠습니다. 즉, 열상의 중간 부위, 즉 역U의 끝부분은 4번 사진처럼, 가쪽 부위는 3번 사진처럼 붙이셔야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가락 실밥을 제거하였다면 피부가 봉합된 상태로 손가락을 움직여서

    경직된 관절을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손가락 등은 열상 후 관절이 쉽게

    굳어져서 다시 손가락을 구부리기 위해 시간이 필요하게 됩니다.

    스트립은 손가락 구조 상 3번과 같이 붙이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스트립은 열상 방향과 직각되게 붙이며 이미 발사 후 시간이 경과하였다면 상처 부위가 벌어질 가능성은 낮습니다. 열상으로인해 관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구축은 흔히 발생할 수 있으며 물리치료를 통해 관절 가동범위를 넓혀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상처에 관해서는 염려가 되신다면 피부과나 성형외과에 내원하시어 상처 부위 진료를 보시고 의견을 들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1, 2. 실밥 제거 전까지는 운동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3. 상처가 가로로 나있기 때문에 세로로 붙여서 서로를 모아주는 느낌이 옳은 방법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한달전이라면 현재 상처가 다 아무셨을텐데요.

    손가락을 움직여주셔야 합니다. 안그러면 관절강직으로 추후에 더욱 힘들어집니다.

    스테리스트립을 짧게 잘라서 3, 4 방법으로 복합적으로 붙이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1. 네 근육 구축이 일어나서 재활운동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2. 이미 붙은 상처라면 흉터가 더 심해지진 않겠지만, 사진으로 봤을때 흉터는 남을 가능성이 크겠습니다.

    3. 상처에 수직방향으로 붙이기는 하는데요.

    상처가 워낙 작고 일자모양이 아니라 어떻게 붙이셔도 상관없어보입니다.

    깔끔하게만 붙여주세요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1. 최대한 빨리 관절운동을 시작해주셔야합니다. 관절운동 하기전에 온찜질을 해주시면 운동이 훨씬 용이하실겁니다. 관절운동은 손가락을 굽히고 펴고하는데 통증이 살짝만 생기는 지점까지만 시행해주시고 점점 늘려나가시면 됩니다.

    2. 원래 해당부위 피부는 2주경 실밥을 뽑는 부위입니다. 그 이후 2주가 더 지났다면 피부가 완전히 아물어잇는게 맞습니다. 움직임에 의해서 상처가 심해지지는 않습니다.

    3. 스테리스트립을 붙이실거라면 상처 절단면에 수직으로 붙이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만약 상처가 일직선이면 90도로 나란히 붙이면 되겠지만 작성자분 손처럼 휘어있다면 눈썹 모양으로 서로 평행하지 않게 붙이는게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시간으로만 보면 이미 상처는 봉합이 되었을 거라 생각됩니다. 스테리 스트립은 안붙여도 될 것 같고 조금씩 움직여 보셔도 상처가 다시 벌어지지는 않을 것 같네요. 통증에 대해서는 소염진통제를 좀 더 드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