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내아내모든것99
내아내모든것99

초등학교 1학년 훈육을 할때....

초등학교 1학년 남자아이 자녀가 있습니다.

사랑스럽고 이뻐도 훈육은 빼놓을 수 없는데요..

아무래도 시간이 흐를수록 노는 것도 거쌔지고 말도 더 안듣게 되는 것 같은데 훈육 할때 말로만 해야 하는걸까요 말로 타이르거나 가르치는게 안될때는 회초리를 들어야 하는 부분도 있어야 하는건가요..

저도 ㅅㅏ람인지라 욱할때가 있네요..다들 어떤식으로 훈육하시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유치원 교사입니다.

    초등학교 1학년 아이를 훈육하는 방법이 궁금한 것 같습니다.

    훈육을 할 때는 감정 조절을 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ㅇㅇ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자란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만큼 이쁜게 사실 입니다. 하지만 이를 이쁘게만 생각하고 오냐오냐 할 경우에는 아이가 버릇없이 성장할 수가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마음이 아프시더라도 아이들을 훈육을 해주셔야 되겟습니다. 이는 아주 중요합니다. 하지 말아야 하는 행동 및 위험한 행동을 할 경우에는 가치없이 강력하게 훈육을 해주셔야 되겠습니다 .이 모든것은 아이를 위한것이기 때문에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말을 듣지 않고, 화가 난다고 해서 절대 체벌은 있어서는 안됩니다.

    꽃으로도 아이를 때리지 말라 라는 말이 있듯이 절대 아이를 때려서는 안됩니다.

    아이도 하나의 인격체 입니다. 존중 받아야 할 존재 이기 때문에 언어로서 타이르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가 말을 듣지 않는다면 단호하고 일관성 있게 훈육을 해주도록 하세요.

    아이가 말을 듣지 않는 그 즉시 아이에게 지금 하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단호하게 말을 해주고, 왜 지금 한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해주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훈육을 하실 때는 사랑과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먼저 아이에게 가르침과 규칙을 설명하고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님이 모델링이 되셔서 단호하게 말씀으로 알려주어도 아이는 이해합니다. 다만, 훈육을 하실때에는 기준을 가지시고 짧고 단호하게 말씀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체벌적 수단은 최후의 수단으로, 가능한 물리적 처벌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회초리를 들지 않아도 충분히 알아 듣게 끔 훈육 할 수 있습니다.

    소리를 크게 할 필요도 없습니다. 낮은 어조로 진지하고 간결하고 이야기 하세요.

    회초리를 든다면 아이는 그 상황을 모면하기 위한 행동은 하겠지만, 부모에 대한 악 감정만 쌓이게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적절한 이유없이 떼를 쓰고 말을 잘 들어주지 않는다면 훈육이 필요합니다. 보통 전문가들은 36개월 정도 지나야 훈육이 효과적이라고 말해주고 있는데요. 1학년이면 필수입니다.

    훈육이란것은 아이가 부모와 소통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절대 체벌은 안됩니다.

  • 안녕하세요.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아무리 화가 나셔도 체벌은 하지 않는게좋습니다 아이들이 시간이 지나도 체벌은 기억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회초리나 폭력 , 폭언은 절대 해서는 안되는 행동 입니다

    초등 학생이 되면서 아이들은 자기 주관이 생겨 나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활동 하고 싶은 마음도 많이 생깁니다

    이제는 원칙도 만들어 줘야 하고 규칙도 있어야 합니다

    규칙이나 원칙도 아이를 설득 할 수 있어야 아이도 규칙이나 원칙을 잘 지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