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23.02.28

바다생물은 항상 짠 물속에서 사는데 몸의 건강 상태는 어떨까요? 바다생물은 바닷물 즉 짠 물에 잘 적응이 되어 있게죠?

우리는 짜게 먹으면 안좋다고 하죠. 바다생물은 항상 짠 물속에서 사는데

몸의 건강 상태는 어떨까요? 바다생물은 바닷물 즉 짠 물에 잘 적응이 되어 있게죠?

어떻게 적응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

몸안에 육지생물보다 소금의 농도가 진한지 아니면 같은지 궁금하고

몸안에 소금이 많다면 건강에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 생물의 몸안에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소금 농도가 존재합니다. 바다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 달리 물안에 섞여 있는 물질의 농도가 일정하지 않습니다. 바다 물 속에는 수많은 종류의 무기물, 미생물, 염분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염분의 농도는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바다 생물은 이러한 농도가 높은 바다 물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몸 안의 소금 농도도 높습니다. 바다 생물은 이러한 농도가 높은 바다 물과 외부 환경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기 위해 신체 내부에서 염분을 축적하고, 이를 이용해 수분을 조절합니다.

    따라서 바다 생물은 육지 생물보다 몸안의 소금 농도가 높습니다. 그러나 이는 생물 종류나 환경에 따라 다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염수 호수에 살아 있는 생물은 육지 생물과 비슷한 소금 농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랜시간동안 진화에 의해서 각각의 환경에 적응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바다생물 역시 마찮가지입니다. 다만 몸이 적응을 할 수 있는 염도의 수준이 정해졌기 때문에 민물등을 오가지는 못합니다. 삼투압에 의해서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생물이 몸의 건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조절하는 것 중 하나는 해수 내 염도와 체액의 염도를 균형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해양생물은 대부분 염도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일시적으로 염도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상황에서도 몸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