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이 계속 올라가던데 금리 영향도 있나요??
작년부터 금리를 잘 안올리는 것 같던데
요즘들어 환율이 계속 올라가는데 금리를 안올려서 그런 것도 있나요??
미국은 금리인하는 안하는지도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 상승에는 금리 영향이 크며, 글로벌 강달러 흐름과 외국인 자본 유출로 원화 약세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미국은 아직 금리 인하에 소극적이지만, 금리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과 글로벌 경제 여건에 따라 변동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원달러 환율 상승은 금리의 영향을 매우 크게 받습니다. 특히 미국 연준의 금리가 한국보다 높게 유지되는 금리 격차가 클수록, 투자 자금이 더 높은 이자를 찾아 한국에서 미국으로 유출되려는 경향이 강해집니다. 이로 인해 원화 수요는 줄고 달러 수요가 증가하면서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는 주요 원인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환율이 계속 올라가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아무래도 우리의 시중 금리 역시도 환율이 오르는 것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에 하나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이 금리를 동결하는 동안 미국 고금리가 장기 유지되며 금리차가 확대된 영향이 큽니다.
금리차 확대는 달러 강세, 원화 악세로 이어지는 구조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미국은 연대 인하 기대가 있으나 실제 결정은 인플레 추이에 따라 조정되고 있습니다.
환율과 금리는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차이가 커지면 해외 투자금이 미국과 같은 고금리 국가로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져 환율이 오르는 현상이 생깁니다.
12월 미국의 금리 인하에 대해서는 전망이 다양한데 현재로서는 인하 쪽에 더 큰 기대를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민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환율에 변동에는 여러가지 요인이 존재하지만
금리도 그중 하나입니다
만약 우리나라 금리가 상승하면
원화에 대한 수익이 높아지고
원화에 수요가 강해집니다 그럼 외국인들이나 우리나라 사람들은
달러릉 매도하도 원화를 보유합니다
수요공급논리에 의해 수요가 많아지므로 원화가 비싸지고 환율은 내려갑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이 계속 올라가는 영향은 금리 인하영향은 매우 미미합니다. 거기다 한국은 글로벌 통화도 아니며 거기다 한국내에서 자본시장과 국채시장 규모도 다른 선진국시장에 비해서 매우 작기 때문에 한국의 기준금리가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매우 작습니다.
현재의 환율이 계속 올라가는 요소는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낮아지고 있는요소와 그리고 대미투자의 천문한적으로 늘어나면서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경상수지가 크게 흑자여도 환전하지 않고 달러로 보유하고 해당 달러는 대미투자로 유출이 된다는 점과 자본수지 측면에서도 국내의 개인들 중심으로 미국으로 자본유출이 발생하는것이 근본적인 원인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한 국가의 금리가 다른 국가보다 높아지면,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하며 외국인 투자 자금이 들어와 해당 국가의 통화 가치를 올리는 경향이 있어요. 반대로 미국의 금리가 상승하면 달러 유출이 발생해 국내 자산 가격이 하락하고 원/달러 환율은 상승하게 됩니다. 투기 자본은 국내 통화를 매도하고 더 높은 이자를 주는 달러를 매수하려 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