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한번 걸린병에 대한 면역이 생긴다고
사람은 한번 걸린병에 대한 면역이 생긴다고 하는데
감기는 왜 한번걸려도 또걸리고 반복적으로 걸리게 되는
지궁금합니다 왜일까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감기는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한 번 걸린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이 생기더라도 다른 종류의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어요.
감기 바이러스는 변이가 잘 일어나기 때문에, 이전에 감염된 바이러스와는 다른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면역 체계가 새로운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를 하지 못하게 됩니다.
감기에 걸릴 때 생긴 면역은 보통 장기적으로 지속되지 않아서 시간이 지나면 면역력이 약해질 수 있어요.
감기는 다양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특히 가장 흔한 원인인 리노바이러스는 여러 종류가 존재합니다. 사람은 특정 감기 바이러스에 걸린 후 그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이 생기지만, 다른 종류의 바이러스가 계속 변형되거나 새로운 종류가 나타나기 때문에 매번 새로운 감기에 걸리게 됩니다. 이로 인해 감기는 반복적으로 걸릴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백찬양 전문가입니다.
감기는 바이러스에 의한 상기도 감염을 의미합니다. 이때 감염되는 바이러스의 종류는 무수히 많으며 변이도 다양하기 때문에 본문의 내용처럼 한번 감기에 걸려도 반복적으로 걸릴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면역력은 평생 꾸준히 유지되는 것이 아니기에 다시 감기에 걸릴 수 있는 것이지요.
무엇보다 가장 큰 이유는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200종이 넘기 때문입니다.
즉, 우리 몸이 한 종류의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을 가지더라도, 다른 종류의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는 것이죠.
또한 감기 바이러스는 유전자 변이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이전 감염으로 만들어진 항체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시 우리 몸은 계속 새로운 감기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이죠.
게다가 우리 몸의 면역 체계는 완벽하지 않습니다. 특히 면역 체계가 약해지면 감기에 더 잘 걸릴 수 있고 스트레스나 수면 부족, 영양 불균형 등이 면역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첫째, 병원체의 변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매년 변이를 일으켜 면역 시스템이 이전에 감염된 바이러스를 인식하지 못하게 만듭니다. 둘째, 면역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할 수 있습니다. 면역 기억 세포는 시간이 지나면서 줄어들거나 기능이 저하되어, 이전 감염에서 형성된 면역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셋째, 일부 병원체는 면역 시스템을 회피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이전 감염에서 형성된 면역이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같은 질병이라도 다양한 병원체가 존재할 수 있어, 이전에 걸린 병과는 다른 병원체에 감염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바이러스를 예로 들면, 바이러스는 변이를 통해 조금씩 변합니다. 따라서, 우리 몸은 달라진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없기 때문에 또 병에 걸린다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사람이 감기에 자주 걸리는 이유는 감기를 유발하는 바이러스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입니다.
감기는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는데, 한 번 걸린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은 생기지만 다른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면역이 형성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반복적으로 감기에 걸릴 수 있는거죠.
또 바이러스는 변이가 일어나기 때문에 같은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면역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