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색다른콜리160
색다른콜리160

60년대생들의 은퇴와 이것이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

옛날 어릴적에 나오던 책 제목 처럼 최근 KBS 뉴스 방송에서

60년대생들이 온다 라는 식의 문구로 60년대생들의 은퇴에 대한 얘기를 하던데요.

60년대생들의 은퇴가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끼칠 것인지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60년대생 인구가 대량 은퇴기에 접어들면서 한국 경제에 다음과 같은 영향이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습니다.

      1.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인한 성장 제약

      - 핵심 생산 연령대 인구가 줄어들면서 노동력 부족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 이는 잠재성장률 하락으로 이어져 장기 경제성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2. 복지재정 부담 가중

      - 연금, 의료비 등 고령층 지원을 위한 재정 지출이 크게 증가할 것입니다.

      -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세수 기반도 약화되어 재정 건전성에 부담이 가해질 수 있습니다.

      3. 내수 소비 위축

      - 은퇴 인구 증가로 가계 소득이 줄어들면서 내수 소비가 위축될 수 있습니다.

      - 일부 산업의 수요기반이 약화되는 영향도 있을 것입니다.

      4. 자산시장 변화 가능성

      - 노후자금 마련을 위한 은퇴자들의 자산 처분 수요 증가로 부동산, 금융자산 가격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5. 산업구조 변화 필요성

      - 고령친화 산업, 의료, 요양 등 신수요에 대응하는 산업구조 재편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전문가들은 은퇴 인구 증가에 따른 인력 부족과 복지재정 부담 증가가 가장 큰 과제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정부와 기업의 대응 노력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로 인하여

      사회 곳곳에 많은 채용이 일어날 수도 있으며

      더불어서 노후준비가 잘 되어 있지 않다면

      정말 노인세대 빈곤율이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