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후 2개월 아기 열이 37.7~38.3도인데 응급실 가야할까요?
아기가 그저께 저녁부터 기침, 콧물 나더니 오늘 새벽부터 열이 나요. 어제 소아과에서 약처방 (항생제 포함) 받긴 했는데요. 곧 소아과 문 여는데 소아과 가봐야할까요? 아님 응급실 가야할까요? 갑자기 급성으로 악화되는 거 보면 그냥 감기가 아닌 듯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생후 3개월 미만 아이에게 38도 이상 열은 응급입니다. 지금처럼 37.7~38.3 사이를 오르내리고 기침이나 콧물 등의 호흡기 증상 동반시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이 높습니다만, 면역력이 약한 2개월 아이에게는 단순 감기도 폐렴 등으로 진행될 수 있어서 소아과나 응급실 방문을 권합니다. 수유량 감소나 의식 처짐, 빠른 호흡이나 호흡곤란 등이 관찰되면 응급실로 내원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1명 평가100일 이내의, 2개월 밖에 되지 않은 신생아 발열 증상이 있고 지속될 경우 신생아 폐혈증의 가능성을 항상 고려해보아야 하며, 상태가 급격히 나빠질 수 있기 때문에 꼭 진료를 보아야 합니다. 소아과가 되었든 응급실이 되었든 진료가 반드시 필요해 보입니다. 아무래도 응급의학과 보다는 소아과가 신생아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전문적이기 때문에 곧 소아과가 문을 연다면 소아과로 가보셔도 괜찮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항생제를 포함하여 약을 처방 받았으나 38도 열이 지속된다면 소아과 진료를 다시 받기 바랍니다.
야간에 40도에 이르는 열이 떨어지지 않고 지속시 응급실 진료를 찾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생후 2개월 아기가 열이나서 걱정이 되시는군요
"곧" 이라는 것이 어느 정도 시간을 말씀하시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시간 차이가 많이 나지 않는다면 굳이 응급실을 이용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열기 38.3이라면 소위 말하는 고열도 아니구요
어차피 응급실에서 할 수 있는 것은 고열을 control하고나서 다시 소아과 외래 진료를 보는 것이니까요
단지 응급실은 중증도를 평가하고 그 다음은 선착순이지만
(단지 선착순이더라도 알게모르게 순서를 양보합니다. 고령, 아기, 임산부등등)
동네소아과는 그냥 선착순이니까 시간 대기가 길어질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생후 2개월 아기에게서 38도 이상의 발열은 소아에서 응급상황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특히 3개월 미만의 영아는 면역체계가 아직 미성숙해서 단순한 감염도 빠르게 악화될 수 있으며, 패혈증, 요로감염, 폐렴, 뇌수막염 등의 중증 감염으로 진행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요
현재 아이의 체온이 38.3도까지 오르고, 기침과 콧물 같은 호흡기 증상에 이어 갑자기 발열이 심해졌다면 단순 감기 이상일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빠르게 대처해야 합니다.
소아과가 곧 문을 연다면 그쪽으로 바로 방문해도 되지만, 아기가 처방받은 약을 복용했음에도 열이 더 오르거나, 활력이 떨어지거나, 젖을 잘 빨지 못하거나, 호흡이 가빠지고 힘들어 보이는 등의 변화가 있다면 즉시 응급실로 이동하는 것이 안전해 보여요
생후 3개월 미만 아기의 발열은 원칙적으로 정밀한 검사와 경과 관찰이 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의료진의 판단 아래 필요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단 아기를 따뜻하게 안아 체온 조절을 도우면서, 상태 변화가 감지되면 망설이지 말고 응급실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