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7

고드름은 어떻게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겨울만 되면 원뿔 모형처럼 매달린 고드름을 볼 수 있는데 고드름은 어떤 현상에 의해 생기게 되는 것인지 원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드름의 생성원리는

    추운 겨울에 지붕에 고인물이 떨어지면서 얼게되는데요

    이 얼게된 눈을타고 물이 또 떨어지며 얼는과정이 반복되어 길다란 고드름이 생기게 도비니다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23.01.18

    고드름은 주로 천장 아래에 생성되는데,

    추운 날씨에도 햇빛이나 따뜻한 기류에 의해 일시적으로 얼음이 녹을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 얼음이 녹아 물로 떨어지면서 기둥을 타고 내려가게 되고,

    다시 해가 지거나 온도가 낮아지면 기둥을 타고 내려간 물들이 얼게 됩니다.

    이 현상이 반복되면 고드름이 생성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드름은 천장 아래 주로 생기는데 추운날씨에 얼음이 햇빛이나 따듯한 기류에 의해 조금씩 녹아 흘러내리가다 다시 차가운 기류나 해가 져서 기온이 내려가면 다시 얼기를 반복해서 생깁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 눈이 녹아 지붕 아래로 떨어지려다 얼고, 또 위에서 눈이 녹아 떨어지려다 어는 것을 반복하여 생기는 것입니다. 따라서 기온이 0도 내외를 오르내려야 생기기 쉽습니다.


  • 안녕하세요. 지경향 과학전문가입니다.

    낙숫물이 흐르다가 기온이 낮으면 얼어붙어 생긴 것이고드름입니다. 보통 아래서부터 얼기때문에 뾰족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경화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 형태의 한 종류입니다. 겨울에 눈이 녹아 지붕 아래로 떨어지려다 얼고, 또 위에서 눈이 녹아 떨어지려다 어는 것을 반복하여 생기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은 어는점이 돼야 얼게 된다는 사실 아시고 계실겁니다.

    지붕위에 있던 물들이 흘러 내려오다가

    기온이 어는점 이하로 내려가게 되자 얼음으로 얼고

    그것이 거꾸로 매달려서 고드름이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