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상장 기업이 ESG 개선이 잘 안되는 이유가 뭔가요?
좋은 상장 기업이 많이 있는데 ESG 때문에 제대로 평가를 못 받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지적하고 얘기하는 데도 개선이 잘 안되는 것 같은데 이유를 뭐라고 보는지요?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세계 각국의 기업들에서는 ESG경영을 선포하며 지속가능한 경영을 꾀하고 있는데 그에 대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이해하기 쉽게 ‘E’ 즉 친환경적인 책임의 예를 들자면 스타벅스에서 친환경 종이 빨대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비용이 더 들어감에도 불구하고 종이 빨대를 사용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행태를 취할 수 있으므로 ESG경영 중 ‘환경 경영 전략’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국내 기업인 SK하이닉스에서는 국내일반기업 최초로 사회적 채권을 발행하였다.
이 채권을 발행하여 모은 자금으로 각 지역사회의 취약계층, 장애인들을 위한 ‘기초 인프라 서비스 제공’과 고용지원 등을 통해 사회 문제 해결에 노력하는 ESG 경영의 예시로 비춰진다.
두 기업 이외에도 최근 트렌드를 따라 모든 기업들이 차차 ESG 경영에 힘쓰는 모습을 가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추세이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ESG는 환경, 사회, 거버넌스의 약자로 투자자가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윤리적 영향을 평가할 때 고려하는 요소를 말합니다. 많은 회사가 ESG 관행에 대해 적절하게 평가되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 때문일 수 있습니다.
한 가지 이유는 ESG 지표 및 보고의 표준화가 부족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ESG 요소를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프레임워크와 표준이 있으며 회사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보고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투자자가 회사를 비교하고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