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지금도유망한곰
지금도유망한곰

윤석열 정부 경제 성과, 실제 체감과 다른 이유는...?

기사를 봤는데요, 윤석열 정부가 물가 안정과 고용률을 성과로 내세우지만, 전문가들은 실상은 체감이 다르다고 하더라고요. 경제적 착시가 생기는 이유가 뭘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윤석열 정부의 경제 성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실 윤석열 정부의 경제 성과는 미미합니다.

    이유는 경제 관련 정책이 부자 감세 외에는 전무하다시피 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은 완전히 딴판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적 착시는 정부 발표와 현실 간의 괴리에서 발생합니다. 물가 안정이나 고용률 상승 수치가 발표되지만,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체감하는 경제 상황은 여전히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통계적 성과가 실생활과 다르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 안정이라는 것은 물가 상승률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지 물가가 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우리나라 내수의 대표적인 소상공인들 장사 자체가 매출이 없습니다 민주주의 사회로 갈수록 대통령이라든가 장관들은 우리 국민들이 주권을 행사해서 어떻게 보면 국민보다 낮은 자세로 있어야 하는데 아직까지도 노인층들이나 이런 사람들은 자신보다 높은 제왕을 뽑으려고 하는 것 같지요 그러니 태생 때부터 부자거나 엘리트였던 사람들이 이 서민들의 삶을 알 수는 없겠지요 주변에서 들어서 조금은 알겠지만 주변 사람들도 죄다 엘리트고 어려움 없이 자란 사람들이기 때문에 저처럼 반지하 사는 사람들의 마음을 알까요

  •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제로 물가상승률이 10월에 전년동월대비 1.3% 로 나오면서 물가 안정이 된 것이 맞습니다.

    고용률도 꾸준히 좋아졌구요.

    다만 실제 국민들이 느끼는 체감경기의 경우에는

    • 대출금리

    • 급여

    • 주식시장/부동산시장

    의 영향이 큰데요,

    금리의 경우에도 기준금리 인하가 되었지만 대출금리의 압박이 계속되고 있구요,

    주식시장 부동산시장 모두 좋지 않습니다. (부동산의 경우 서울중심권만 최고가 형성하고 이외 전고점 회복 못하는중)

    급여의 경우에도 내 월급 전혀 오르지 않고 오히려 인센티브가 깎인 회사들이 많습니다.

    그렇다 보니 체감경기는 좋지 않은 것이죠.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통계의 오류라고 보시면 됩니다. 어떤 수치를 활용하냐에 따라서 정부의 경제 성과를 부각시킬 수 있는데요. 이때문에 정부가 유리한 측면만 내세우다보니, 실제 체감물가와 다르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현실과 괴리가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