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아하유저1
아하유저1

무역수지와 경상수지 차이, 실생활 사례로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요새 경제에 관심이 생겨서 이것저것 찾아보고 있는데

무역수지와 경상수지는 경제에서 자주 언급되지만 구체적인 차이점을 알기 어려워요.

이 둘의 차이점을 실생활에서 겪을 수 있는 사례로 설명해 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최근 국가별 사례를 통해 경상수지가 무역수지보다 넓은 범위를 포함한다는 점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무역수지는 상품을 사고파는 것만 따지는 반면, 경상수지는 여기에 서비스, 투자소득, 이전소득까지 포함하는 더 넓은 개념이에요.

    예를 들어, 우리가 해외에 자동차를 수출하면 무역수지에 반영되고, 해외에서 벌어온 공연 수익이나 이자·배당 수익은 경상수지에 포함돼요.

    미국은 상품 수출보다 수입이 많아 무역수지는 적자지만, 해외 투자로 얻는 이자와 배당이 많아 경상수지는 상대적으로 나쁘지 않은 편이에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무역수지는 한 나라가 외국에 물건을 팔아 번 돈과 외국 물건을 사는데 쓴 돈의 차이, 즉 상품만을 기준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내가 해외에서 스마트폰을 팔고 옷을 사왔다면, 이 차이가 무역수지입니다. 반면, 경상수지는 여기에 해외여행, 유학, 외국인 투자 배당, 이자 등 서비스와 소득, 송금까지 모두 포함합니다. 즉 해외에서 아르바이트를 해 번 돈이나, 외국인 친구가 한국에 보내준 돈도 경상수지에 들어갑니다. 그래서 무역 수지는 “물건 거래”, 경상 수지는 “물건+서비스+소득+송금”의 총합으로 이해하면 쉽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