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에 역전세가 발생이 되었다는 뉴스를 가끔 접하는데 역전세가 발생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온화한돌고래유니파파입니다.
요즘에 역전세가 발생이 되었다는 뉴스를 가끔 접하는데
역전세가 발생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때문인가요?
역전세는 집값이나 전세가가 비쌀때 전세를 들어갔는데 집값과 전세가가 많이 떨어져서 전세가가 집값과 비슷하거나 전세가가 더높아 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때 세입자가 집을 빼고 나오려고 해도 전세가가 떨어져서 임대인이 보증금을 못빼주고 내린만큼 임대인이 역으로 월세를 임차인한테 주는 방식입니다
역전세가 발생하는 이유는 전세가격이 하락하였기 때문입니다 .보통 역전세와 깡통전세를 많이 비교하시는데 , 깡통전세는 주택가격이 하락하면서 현 전세보증금보다 시세가 낮아지는 것을 말하지만, 역전세는 전세가격이 하락하여 현 전세보증금보다 전세시세가 낮아지는 것을 말합니다. 둘의 차이는 깡통전세는 주택을 팔아도 현 임차보증금 반환이 불가한 전세사고로써 볼수 있지만, 역전세는새로운 임차인을 받아도 현 세입자 보증금반환이 어려울수 있는 경우지만, 주택시세와 보증금의 차이가 있을수 있기 때문에 주택을 매도하는 경우 전세보증금 반환이 가능할수도 있기에 꼭 전세사고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구자왕 입니다.
전세금액의 최대 90% 가까운 금액이 대출이 나오면서
전세보증보험 한도가 높으니, 애초 매매가 대비 전세가가 높게 형성이 되었습니다.
부동산이 폭락하면 자연스럽게 역전세가 나오는 구조였습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부동산은 대표적인 투자자산입니다.
경제상황등 여러 요인에 따라 가격이 오르기도 하고 내리기도 합니다.
역전세는 이전 전세가보다 현재 시세가 낮은것으로 시세가 떨어져서 발생합니다.
금리가 오르거나 지금처럼 전세사기 이슈가 있거나 할때는 전세가가 내려가니 역전세가 발생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최근 역전세가 발생하는 이유는 매수세 둔화가 장기화되었기 때문입니다. 실수요자들도 집값 하락에 대한 기대 때문에 매수를 꺼리는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실수요가 전세 수요로 이동하였고 전세값 상승을 이끌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역전세는 정상적이지 않은 모습으로 매가가 상승하든 전세가가 하락하든 어떤 이유로든 장기간 지속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역전세는 주택을 투자의 대상으로 지나치게 활용한 결과물일 수 있습니다. 특히나 빌라같은 경우 시가를 잘 알 수 없는 점을 이용해 집값을 부풀려 최대한 대출 및 세를 주어 돈을 활용하고 재투자를 하다 보니 수중에는 돈이 없는 상태에서, 부동산 하락기에다 전세사기등의 부작용이 겹쳐 빌라의 인기하락으로 집값보다 오히려 전세금액이 더 높은 소위 역전세 상황이 되자 보증금 반환에 어려움을 겪게되며 문제가 발생 한 것입니다.
전세보증보험도 과거에는 공시가의 150%까지 가입을 허용해 주었으나 보험 지급 요청이 너무 많이 발생하여 부담이 되다 보니 126%로 낮추어, 전세 연장시 가입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며 역전세 상황이 발생한 집은 다음 세입자를 같은 가격에 받을 수가 없어 임대인이 여유가 없는 경우 보증금 반환문제로 다툼이 벌어지고 이사가 어려워지는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부동산 침체로 전세기간에 매매가가 떨어지며 현재 거주하고 있는 전세입자의 보증금보다 매매가가 낮아지는 경우 발생합니다....
역전세란 10억짜리 아파트를 전세로 8억에 주었는데 시간이 지나서 아파트 가격이 하락을 하여서
7억이 되어버리는 현상을 역전세라 표현합니다.
집주인은 10억 시세의 아파트에 전세 8억을 받고 전세를 주었는데 나중에 나갈때 8억을 줘야 하는데 시세가 7억이다 보니 보증금을 쉽게 주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공인중개사 입니다.
역전세란
전세 시세가 구 전세보증금보다 낮은 현상을 말합니다. 역전세가 발생하는 이유는 집값이 하락하거나 전세금이 인상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역전세가 발생하면 집주인은 전세금을 돌려줄 여력이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