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방에서 불러서 들리는 내목소리는 남들이 듣게되는 거와 똑같이 들리는지 궁금합니다.
일반적으로 내가 말하는소리를 내자신이 듣게되는 목소리는 남들이 듣게되는거랑 다르게 들리며 녹음으로듣게되는 목소리가 실제 목소리라고 보면된다고 하던데요.
그렇다면 노래방에서 불러서 들리는 내목소리는 남들이 듣게되는거와 똑같이 들리는 원리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로 자신의 목소리는 남들이 듣는 목소리와 다르게 들릴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두 가지 이유로 인해 발생합니다.
첫째, 음성 전달 경로의 차이: 일반적으로 우리는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공기를 통해 우리의 목소리를 듣게 됩니다. 이는 음성이 우리의 몸과 뼈, 귀 등을 통과하여 우리의 내부에서 전달되기 때문에, 듣는 느낌이 다르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반면에, 다른 사람들은 외부에서 우리의 목소리를 듣기 때문에, 공기를 통과한 목소리를 듣게 됩니다. 이로 인해 자신의 목소리가 녹음으로 듣게 되는 목소리와 다르게 들릴 수 있습니다.
둘째, 심리적 요소의 영향: 자신의 목소리를 들을 때는 심리적인 요소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자신의 목소리를 들으면서 자신과 관련된 감정, 자부심, 불안 등의 요소를 더 많이 느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자신의 목소리를 다른 사람들이 듣는 목소리와 다르게 느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본인이 내는 목소리랑 녹음을 하거나 해서 따로 듣는 목소리랑은 차이가 있습니다.
내가 말할때는 우리의 두뇌와 신경 시스템에 의해 처리 됩니다.
녹음된 목소리는 외부적인 소리로 들리기 때문에 다른 인식을 하게 되어 차이가 나는 것입니다.
노래방 마이크도 마찬가지 일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한 음성은 다른 사람에게 들리는 목소리와 같습니다.
우리의 목소리는 자신이들을 때는 자신의 성대에서 울리는 울림과 외부의 소리를 조합해서 들리기 때문에 내가 듣는 나의 소리와 다른 사람이 듣는 나의 목소리에 차이가 있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노래방에서 불러서 들리는 목소리는 남들이 듣게 되는 목소리와 똑같이 들립니다.
우리가 말하거나 노래를 부를 때, 소리는 성대에서 만들어져 공기를 통해 전달됩니다. 우리가 내는 소리는 입 밖으로 나가는 소리와 몸 안에서 울리는 소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입 밖으로 나가는 소리는 공기를 통해 전달되어 상대방의 귀로 전달됩니다. 이 소리는 남들이 듣게 되는 목소리입니다.
몸 안에서 울리는 소리는 두개골과 목, 가슴, 폐 등의 기관에서 울려퍼집니다. 이 소리는 우리 자신의 귀로 전달됩니다.
우리 자신이 내는 소리는 입 밖으로 나가는 소리와 몸 안에서 울리는 소리가 합쳐져서 들립니다. 따라서 우리가 내는 소리는 남들이 듣게 되는 목소리와 다르게 들립니다.
노래방에서 불러서 들리는 목소리는 입 밖으로 나가는 소리만 들립니다. 몸 안에서 울리는 소리는 노래방의 마이크에 잡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노래방에서 불러서 들리는 목소리는 남들이 듣게 되는 목소리와 똑같이 들립니다.
다만, 노래방의 마이크와 앰프의 성능에 따라 소리가 다르게 들릴 수 있습니다. 마이크의 감도가 높으면 고음과 중음이 강조되어 들릴 수 있고, 마이크의 감도가 낮으면 저음이 강조되어 들릴 수 있습니다. 또한, 앰프의 출력이 높으면 소리가 깨끗하게 들릴 수 있고, 앰프의 출력이 낮으면 소리가 뭉개져서 들릴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같은 원리죠.
본인의 목소리를 다른사람이 느끼는소리와 본인이 느끼는 소리가 다르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