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색다른콜리160
색다른콜리160

아이들이 말을 이해하고 사용하게 돼 가는 과정?

성인들과 다르게 유아의 아이들의 경우에는 단어자체로는 의미없는 소릴내거나 우는것 외에는 자신을 표현할 방법이 없다고 보는데요.

그런 아이들이 언어를 이해하고 사용하게 되는 과정에서 어떤 지지를 해주는 것이 좋은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유아가 일상 생활에서 다양한 언어에 노출되도록 해야 합니다. 부모나 보호자는 유아에게 책 읽어주기, 노래 부르기, 대화하기 등을 통해 언어를 자연스럽게 습득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훈육이 가능한 시기는 만3세 이후부터라고 합니다.

    따라서 그 이전까지는 부모가 훈육을 하더라도 그 말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자연스럽게 훈육의 효과는 기대하기 힘들겠습니다.

    아이가 말을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아이와 평소에 일상적인 대화를 자주 나누고 아이에게 꾸준히 책을 읽어주는 것은 아이의 언어발달, 사고력 확장에 도움이 됩니다.

  • 아이의 언어발달은 꾸준한 노출이 필요할수있습니다

    대화를 자주 들려주시는것이 좋으며

    책을 읽어주거나 노래를 불러주거나 하면서 꾸준히 언어적 자극을 주시면 도움이될것입니다.

  • 언어사용늘리는법

    1.언어적상호작용늘리기

    2.화용언어사용늘리기

    3.책읽는것 늘리고 자주들려주기

    참고하시면좋겠네요

  • 아이들이 언어를 잘 알아 듣지 못한다고

    우쭈쭈 하는건 현명하지 못한 언어 방식입니다.

    평상시 말투대로 계속 대화를 걸어주는게

    아이들이 언어를 배우는데 더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평상시 대로 자주 대화 해주고

    상호 작용 해주시면 될거 같습니다. ㅎ

  •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본인의 의사를 표현하는데까지 시간을 많이 걸린다고 합니다. 하지만 의사 표현을 하지 못하더라도 다른사람들이 하는 말은 다 이해를 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아이앞에서는 말을 조심하시는게 좋겠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말귀를 알아 듣는것 같은 행동을 하면 리액션을 강하게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그리고 칭찬을 해주고 아이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질문을 해주시는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부모님과 어렸을 때부터 대화를 많이 하고 소통을 많이 하게 되는 아이들은 언어 발달 속도가 빠르고 언어에 대한 이해도 또한 굉장히 깊습니다. 더불어서 또래에 비해서 알고 있는 단어들과습득한 단어들이 굉장히 풍부하고 다양합니다. 이렇듯 부모들과 밀접한 소통이 아이들의 신체 발달과 정서 발달에도 굉장히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새로운 단어와 언어에 대해서 흥미를 갖고 배워가는 과정 속에 부모님들은 칭찬을 많이 해주시고 동료 시는 게 좋습니다. 그리하여 아이들은 힘을 받아 부모에를 믿고 따르며 자신의 성장에 박차를 가게 될 것입니다.

  • 돌이 지나면 아이들은 자아가 생기고, 자기 주장도 강해집니다.

    그리고 돌이 지나면서 부터 아이들은 말귀는 알아먹습니다.

    다만 언어로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미숙할 뿐 입니다.

    이 시기에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한다면 단호하게 그 행동이 좋지 않음을 짚어주고 왜 그 행동이 옳지 않은지 아이 눈높이에 맞게 설명을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또한 아이가 잘한 행동은 리엑션을 크게 해서 칭찬을 해주고, 아이가 무언가를 시도하기를 어려워 할 때에는 부모님께서 직접 보여주시고 아이가 경험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더나아가 아이에게 넌 할 수 있어, 충분히 할 수 있어 라는 긍정적인 메세지를 전달하면서 아이를 복돋아 주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영아들은 개인 발달 차이가 있겠지만 보통은 옹알이 시기를 거쳐 돌이 지나면

    간단한 엄마 아빠 등 단어를 말할 수 있게되는데요. 그 전에는 옹알이로 성인의 억양을 따라할 수도 있습니다. 영아의 언어발달을 촉진 시키기 위해서는 부드러운 눈빛으로 대화를 많이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가는 성인의 표정에서부터 목소리, 톤까지 영향을 받게 되는데요. 안정된 목소리와 미소짓는 얼굴 표정은 아가에게 정서적으로 안정적인 교감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영아 성장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