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법은 현재 어느 수준까지 상용화되었나요?
안녕하세요.
2000년대초만 하더라도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법이 미래의 초고도화된 의료법이 될거라 믿었는데 지금 어느수준까지 개발되었나요?
현제 극히 일부 질환에 대해서 상용화가 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인 질환이 퇴행성 관절염, 급성 심근경색, 크론성 누공, 루게릭병 등입니다.
결과적으로 2000년대 초반의 기대처럼 모든 질병을 한 번에 치료하는 수준에는 아직 이르지 못했지만, 특정 난치성 질환에 대해서는 이미 상용화된 치료제들이 있고, 유도만능줄기세포(iPSC)와 같은 기술을 통해 치료 영역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줄기세포 치료법은 현재 조혈모세포 이식을 비롯한 일부 치료는 상용화되었고, GVHD, 혈액암, 1형 당뇨병, 겸상적혈구병 등에서는 FDA 승인을 받은 치료제가 존재하며, 그 외에도 심장, 신경계, 정형외과, 안과 등 다양한 질환에 대해 임상시험이 활발히 진행 중이지만 안전성과 규제 문제로 인해 대부분의 치료는 아직 임상 단계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법은 다양한 질병 치료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일부 질환에서는 이미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에서는 심근경색, 퇴행성 무릎 골관절염, 크론성 누공, 루게릭병 등에 대한 줄기세포 치료제가 허가를 받아 시판되고 있으며, 그중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인 '카티스템'은 누적 수술 2만회를 돌파하고 연 매출 200억원을 넘어서는 등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줄기세포 치료제는 임상 단계에 있으며, 아직 장기적인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한 측면도 존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현재 공개된 수준은 하나의 생명을 복제가 가능한 수준인것으로 파악은 되요
다만... 이게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어 결국은 사용은 안될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