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에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에22.12.03

요즘 하는 과학 수사와 조선시대 과학수사?

요즘 기술의 발달로 인해 과학 수사로 오래된 기록도 조사하여 풀어내는데요.

조선시대에도 과학수사라고 하는 개념이 존재 하나요 ??

조선시대 과학 수사는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 알수있나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도 현재의 과학수사를 빰칠만한 과학수사가 있었습니다.

    법의학서에 해당하는 무원록 시리즈(무원록은 중국의 법의학서이고, 세종 때 조선에 맞춘 신주무원록, 영조 때 신주무원록에 주석과 내용을 추가한 증수무원록이 있었습니다.)와 영조와 정조 때의 사건기록을 담은 심리록이라는 책이 있었습니다.

    또한 식초를 이용하여 루미놀 반응과 비슷한 반응으로 혈흔을 찾기도 하였고, 시신의 상처부위를 찾기 위해 술찌꺼기와 식초로 상처를 외부에 올라오도록 한 기록도 많습니다.

    게다가 영화나 드라마에서처럼 '매우 처라'가 아니라 접수-진술-초검(검시)-2차진술-복검(2차 검시)의 순으로 진행되었는데요, 복검에서는 원인을 찾지 못하면 3차, 4차 검시가 이뤄지고 각 검시때마다 다른 사람이 진행하고 앞선 검시 내용을 모르게하여 부정을 방지하는 등 오히려 현대보다 더 공정하다고 할 수 있는 부분도 많았습니다.


  • 조선시대에 현대의 과학수사 기법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DNA를 검출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범행 장소에 피가 묻었다거나 하면 상처가 있는 사람들을 모두 조사하는 방식으로 수사를 하였습니다.

    또한, 조선시대에도 알려진 독의 반응 등으로 유추하기도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