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에게 식탐이 생겨서 문제가 될 때에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아이가 음식이나 간식을 먹을 때,
자꾸만 더 먹으려고 하고 자기 것에 대해서
굉장히 집착을 합니다. 또 다른 사람의 음식을 보면서도 대놓고 더 먹고 싶다고 이야기를 할때가 있는데요. 굉장히 난처하기도 하고 꿀밤을 한대 콱 쥐어박고 싶기도 한데요.
이런 식탐은 어떻게 잡아주면 좋나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식탐은 아이가 심리적으로 불안정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때 또는 자극적인 음식에 노출되어 있거나 원래 식성이 좋거나 하는 다양한 원인이 있을수 있습니다. 그래서 식탐이 많은 아이들은 배가불러도 또 먹으려고 하며 다른 사람의 음식에도 관심을 가질수 있습니다. 식탐이 많은 아이들은 적절한 양을 조절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와의 대화를 통해서 왜 음식에 욕심을 부리는지 원인을 파악하고 먹을 음식에 대한 적정양외에 다른 사람의 음식을 탐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아이가 이해할수 있도록 설명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식탐을 줄이기 위해서는 개인식판을 이용해 적정량의 음식을 먹을수 있도록 습관을 들이는것이 중요하며 음식을빨리먹지 않도록 습관을 형성해주시면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어떤 마음인지 너무 잘 식탐은 조절해주지 않으면 어린이나 어른이나 그로 인해서 문제가 생길 때가 많습니다. 식탐이 있으면 참 난감하기도 하고 걱정도 되실텐데요.
아이가 먹는 전용 그릇에 덜어서 밥을 먹을 수 있도록 해주시고 다른 사람 걸 함부로 뺏어먹어서도 안 되고 나의 음식을 다른 누군가에게 마음대로 주어서도 안 된다는 걸 알려주셔야 합니다. 식탐은 결국 욕심을 부리는 것과 관련이 있는데요. 정량만 먹는다는 걸 아이가 인지해야 합니다. 계속 식탐을 부리며 많이 먹게 되면 그만큼 양이 늘어나기 때문에 부모님들께서 마음 굳게 먹으시고 아이의 식사량이 조절해 주셔야 되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식탐이 너무 많아도 문제이고, 너무 적어도 문제라고 합니다. 너무 적을 경우에는 아이가 해당 개월수에 맞게끔 성장을 해야 하는데 이렇게 자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간에 간식을 먹이지 않고 밥을 잘먹도록 해줘야 합니다. 반대로 우리 아이가 밥을 너무 잘 먹는다고 한다고 이는 아이가 소아비만에 걸릴 확률이 높아 집니다. 따라서 아이에게 정량의 식사를 제공해주시는게 중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한참 성장하는 시기에는 아이가 먹는 것을 잘 먹을 수 있는 것은 당연함 이지만 먹을 것에 강한 식탐을 보이는 행동은 아이의 욕구불만 일 수도 있어요.
그렇기에 제일 먼저 부모님께서 해주셔야 할 일은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봐주면서 대화로 소통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나서 아이에게 식탐을 너무 많이 부리는 행동은 옳지 않음을 알려주도록 하세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보육교사입니다.
음식이나 간식, 식사 시 전용 그릇이나 식판을 제공해주셔서 먹을 만큼만 먹도록 해주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전용 그릇과 식판은 아이뿐만 아니라 식구들 모두 똑같이 해주셔서 정해진 음식을 먹는다는 것을 알려주신다면 좋을 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이가 너무 잘 먹어도 걱정, 안먹어도 걱정인 것 같습니다. 식탐이 많다면, 아이가 비만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식탐을 줄이기 위해서는 많이 먹어도 몸에 해롭지 않는 방울토마토, 오이, 물등을 틈틈히 먹게 해서 아이의 배가 차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식사량이나 음식량을 정해놓고 먹는 연습을 하는것이 좋겠네요. 먹는양을 꾸준히 조절한다면 적게먹고도 포만감을 느낄 수 있지만, 과식하는 습관이 든다면 위장이 비대해지고 먹는양이 계속 늘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식탐을 부리는 게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면서 안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으니 욕심 부리지 않도록 해주시고 식탐을 계속 부리면 배가 아프거나 속이 좋지 않은 등 오히려 건강에 좋지 않다는 걸 알려 주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식탐은 본능적인 것이고 자연스러운 현상 입니다
누구에게 혼나거나 비판 받을 일은 아닌것 같아요
물런 병적으로 많이 먹고 토한다면 문제가 있겠지만요
비만이 걱정 된다면 먹고 운동을 하면 좋을것같아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아직 어리다면 한창 성장할때라 먹고싶은게 많아서일겁니다 다만 그 정도가 심하면 아이에게 이야기하여 이러한 행동은 남을 불편하게 하는 것이니 하면 안된다고 입장을 바꿔 생각해볼수있도록 지도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