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을 집에서 기르면 공기가 좋아지나요?
집에서 식물을 기르는 경우가 많은데요. 식물이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한다고 들었는데 어떤 원리로 그게 가능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집에서 식물을 기르면 식물이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내보내며, 일부는 공기 중 유해 물질을 흡수하거나 분해해 공기 정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산세베리아, 스파티필름, 아이비 같은 식물은 특히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 능력이 있어 실내 공기 질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식물을 집에서 기르면 공기가 좋아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식물은 광합성, 증산작용, 그리고 토양 내 미생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기 정화 기능을 합니다. 잎의 기공을 통해 이산화탄소와 포름알데히드, 벤젠 등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같은 오염물질을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며, 흡수된 오염물질 중 일부는 식물의 대사산물로 이용되거나 뿌리로 이동하여 토양 미생물에 의해 분해됩니다. 또한, 식물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이 양이온을 띤 미세먼지와 결합하여 미세먼지가 무거워져 바닥으로 가라앉게 하고, 증산작용을 통해 실내 습도를 조절하며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네, 식물이 공기를 정화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식물이 광합성을 하며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것이 식물의 가장 기본적인 공기 정화 원리입니다.
또한 식물은 뿌리에서 흡수한 물의 대부분을 잎의 기공을 통해 수증기 형태로 공기 중으로 방출하는 증산작용을 하는데, 이 증산작용을 통해 실내 공기의 건조함을 완화하고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그리고 수증기가 증발하면서 주변의 먼지나 오염 물질을 흡착하여 함께 제거하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습니다.
또 일부 식물은 포름알데히드나 벤젠, 자일렌, 트라이클로로에틸렌 등 실내 공기 오염의 주요 원인인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흡수하는 능력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집에서 식물을 기른다고 무조건 좋아지는건 아니랍니다.
식물도 햇빛에 잘 키워야지 그나마 효과가 있는데요
오히려 흙이나 저녁에 공기를 탁하게 만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