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반도체나 IT쪽 매출이 견조해보이는 근거의 통계는 무엇이 있을까요?

최근 반도체 산업쪽이 피크아웃 우려나 하반기 전망에 대해서 여러 논란이 있는데 실제 현재 통계 동향으로 볼때 이런 우려가 다소 과장된것으로 보이는 측면의 통계는 어떤게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반도체의 수출실적이 크게 개선되고 있다는 점이 있으며 반도체는 경기와 같이 사이클을

      타며 움직이는 특징이 있다는 점만 고려하셔도 그 근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 반도체 산업의 피크아웃을 확인하려면 이번 8월말에 있을 엔비디아의 실적이 어떻게 나오는지에 따라

      우려가 현실이 될 가능성도 충분히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반도체나 IT 업종의 매출이 견고하다는 통계와

    가장 밀접한 것은 AI 산업 발달 등으로 인하여 점차 규모가 커지고 있고

    더불어서 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것도 볼 수 있습니다.

    더불어서 데이터센터 등의 증가량 등도 이러한 근거라 삼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여전히 반도체 업종이 세계 금융 시장에서 주당순이익(EPS) 상승을 주도하고 있으며 ‘M7’을 주축으로 한 혁신이 지속 중이라는 것이 반대측의 주장인데요. 또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역시 고점 대비 하락한 것은 맞지만, 전년 동기 대비 30% 이상 상승한 것으로 여전히 반도체 사이클은 끝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반도체 및 it 산업은 피크아웃 우려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월별 반도체 매출액, 지역별 수요 증가, 그리고 글로벌 파운드리 가동률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산업 전반의 성장세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폰과 pc 등의 it 기기 판매량 증가,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 자동차 반도체 수요 급증 등이 이러한 성장의 주요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주요 반도체 기업들의 대규모 설비 투자와 r&d 투자 확대는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iOt, ai, 5g 등의 신규 시장이 반도체 수요를 다변화시키고 있으며, 각국 정부의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도 산업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반도체 및 it 산업은 다양한 통계적 근거와 함께 지속적인 성장을 예상할 수 있으며, 이는 미래 기술 발전과 새로운 시장 개척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 상황과 지정학적 리스크 등 외부 변수에 따라 성장 속도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AI, IoT, 자율주행차 등 새로운 기술의 발전으로 반도체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 센터와 클라우드 서비스의 수요가 반도체 시장을 지탱하고 있습니다. 일부 기업의 재고가 증가했지만, 전체 산업적으로 보면 여전히 공급망의 불균형이 존재합니다. 이는 특정 기업의 문제일 수 있으며, 전체 시장의 수요가 여전히 강하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반도체, IT 쪽 매출이 견조해보이는 근거의 통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통계 자료보다는 최근 삼성전자의 실적이 어닝서프라이즈였을 정도로

    반도체 매출이 높다는 증거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대만의 IT매출동향이 매우 중요하고 전체 사이클을 볼때 핵심지표인데요. 7월의 IT매출동향을 보면 전월대비 11%증가하였고 전년대비 23.9%나 매출이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애플 밸류 체인 기업들의 합산 매출액이 전월비 18.8%나 증가하였습니다 전년대비 27.8%나 증가하였으며 TSMC도 이번 매출동향에서 전월대비 23.6%나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서버업체들의 AI 서버 매출이 세자릿수 성장을 하고 있으며 엔비디아 관련 벤더들도 50%이상 성장하고 있어서 과연 시장에서 우려하는 피크아웃인가 하는 점은 분명 논란이 있고 일단은 지켜볼 상황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폭스콘은 이번에 9월에 출시된 아이폰 16생산을 위해서 공장 5만명을 추가로 채용하였고 가이던스 전망도 상향을 하였습니다.

    또한 트렌드포스가 내년 D램전망을 내놨는데 올해보다 50.5%증가했을것으로 보고서를 내놓기도 하였기 때문에 당장 피크아웃 우려는 과도한 측면은 있다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