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과 유아와의 관계형성은?
반려견을 키운지 3년정도 되었는데, 집에 6개월 아이가 있습니다.
반려견과 아이와 관계형성을 어떻게 해야할지가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이경민 수의사입니다.
강아지마다 다릅니다. 사회화가 잘되고 훈련이 잘 되어있는 강아지들은 아이와 잘 지내기도 하고
질투가 많고, 주인에 대한 의존성향이 강하고, 공격성이 있는 강아지들은 아이를 싫어합니다.
강아지의 기본적인 요구 (산책, 교감, 영역 등)를 잘 지켜주세요.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시간내어 좋아요 추천 한번 씩 눌러주시면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대부분 부모의 행동상의 습관, 태도, 성향에 따라 강아지의 성향의 방향이 결정되기에 보호자의 습관, 태도, 성향을 분석하고 적절한 관리 방법이 교정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전문 훈련사를 초빙하여 보호자의 행동, 태도, 습관을 분석받으시고 교정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
반려견과 아이의 관계형성은 보호자님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반려견과 아이를 함께 놀아주세요. 서로 즐거운 시간을 보내면서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고 존중하게 됩니다. 또, 반려견과 아이에게 적절한 경계를 가르쳐주세요. 반려견과 아이가 서로의 공간과 시간을 존중하도록 가르쳐주시는겁니다. 예를 들어, 반려견이 자기 자리에서 쉴 때는 아이가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아이가 식사할 때는 반려견이 가까이 오지 않도록 하세요. 또한, 반려견의 먹이나 장난감을 아이가 건드리지 않도록 하고, 아이의 장난감이나 옷을 반려견이 물어뜯지 않도록 하세요. 이렇게 하면 반려견과 아이가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고 살림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석 수의사입니다.
동물의 세계에서는 순위 결정이 중요합니다 사람은 사람이 사는 방법이 있고 동물들은 동물들의 사는 방법이 있기 때문에 이걸 잘 이해하고 접목 시켜야 합니다 아기가 있다고 하셨는데 강아지가 아기를 볼 때에 자기 밑에 순으로 보면 큰일납니다 괴롭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강아지에게 계속적인 훈련을 통하여 이 아기도 너의 주인임을 인식시켜 줄 필요가 있습니다 아기가 어느 정도 클 때까지는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시고 이 문제는 잘 지켜 보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