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일제강점기에 이 기간동안 조선 총독을 했던 사람은 몇 명인가요?

1910년 경술국치 이후 1945년에 일제가 패망하기까지 우리나라에서 총독을 했던 사람들은 몇 명이 있나요?

이 조선총독들은 어떤 권한까지 행사할 수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조선 총독은 모두 9대 총독까지 이며, 3대 총독과 5대 총독은 사이토 마코토가 재임하여 실제로는 8명이 역임했습니다. 1대는 데라우치, 2대 총독은 하세가와 요시미치, 3대는 사이토마코토, 4대는 우가키 가즈시케, 5대 사이토 마코토, 6대 우가키 가즈싴게, 7대 미나미 지로, 8대 고이소 구니아키, 9대 아베 노부유키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역대총독

    제1기는 테라우치(寺內正毅) 총독 시대.

    (1910년 10월 1일, 專任 1911년 8월 21일-1916년 10월 9일)

    제2기는 하세가와(長谷川好道) 총독 시대.

    (1916년 10월 16일-1919년 8월 12일)

    제3기는 사이토(齋藤實) 총독 시대.

    (1919년 8월 12일-1927년 12월 10일)

    제4기는 야마나시(山梨半造) 총독 시대.

    (1927년 12월 10일-1929년 8월 17일)

    6월 24일, 총독부 독직사건 발생, 총독 야마나시 파면됨.

    제5기는 사이토(齋藤實) 총독 재임 시대.

    (1929년 8월17일-

    제6기는 우가키(宇垣一成) 총독 시대.

    (1931년 6월 17일-1936년 8월 5일)

    제7기는 미나미 지로(南次郞) 총독 시대

    (1936년8월26일-1942년5월)

    제8기는 고이소(小磯國昭) 총독 시대.

    (1942년 5월29일-

    제9기는 아베(阿部信行) 총독 시대.

    (1944년 7월24일-

    총독의 권한

    총독은 일본 천황에 직속되어 일본 내각의 통제를 받지 않고 한반도 내에서 행정권·사법권·군사권 등의 모든 권한을 가졌습니다. 그래서 총독은 조선 주둔 일본 육 ·해군을 통솔하여 조선의 방위를 맡으며, 모든 정무를 총할하여 내각총리대신을 경유해서 일본왕에게 상주, 재가를 받을 권리가 있었습니다. 또, 특별한 위임에 따라 총독부령을 발하고, 여기에 벌칙을 첨가할 수 있었으며, 법률을 요하는 사항은 총독의 명령으로 규정할 수 있는 등 극히 폭이 넓고 강력한 권한이 부여 되었습니다.

    즉 조선총독은 총독부의 관료체제와 군대, 헌병, 경찰 등 치안기구를 결합한 무단통치의 총사령관 이였습니다. 일제는 한반도를 효율적으로 지배하기 위해 다양한 법률과 칙령을 제정했는데 이 칙령은 조선 지배의 법제적 기초가 됐습니다. 또 조선에서 별도 법률로 정해야 할 입법사항은 조선총독의 명령인 제령으로 정하도록 했습니다. 제령은 일본 내각총리대신을 거쳐 천황의 재가를 받는 게 원칙이었지만, 긴급한 사유가 있을 때는 총독이 단독으로 법률을 제정할 수 있었습니다. 총독은 조선총독부령을 발동해 1년 이하의 징역, 금고, 구류, 또는 200원 이하의 벌금 및 과태료의 벌칙을 정할 수 있었습니다. 또 조선 내 재판소의 설립 및 폐지, 관할구역 결정, 판사의 이동 및 면직 등에 관한 권한도 있었습니다.

    이정도면 가히 조선의 황제같이 군림했다고 보여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