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미술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클립스튜디오 합성모드 제외, 차이?

클립스튜디오 합성모드 제외 그 두 모드의 차이점이 뭔가요? 얼핏 봤을때는 비슷해 보이던데. 쓰임새나 응용 방법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윤지혜 전문가
    윤지혜 전문가
    아르떼디자인예술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

    클립스튜디오의 합성 모드에는 '오버레이', '스크린', '발광' 등이 있으며, 각각의 모드마다 다른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클림스튜디오에서 제공하는 합성 모드인 표준, 곱하기, 스크린, 오버레이, 발광 닷지, 핀 라이트, 하드 혼합, 제외, 컬러 비교(어두움) 등의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준은 일반적인 합성 모드이며, 상위 레이어와 하위 레이어의 색상, 명도, 채도를 합산하여 나타냅니다. 곱하기는 상위 레이어의 색상, 명도, 채도를 하위 레이어에 곱하여 나타냅니다. 이로 인해 하위 레이어의 색상이 강조되거나 변화될 수 있습니다. 스크린은 상위 레이어의 색상, 명도, 채도를 하위 레이어에서 뺀 값으로 나타냅니다. 이로 인해 하위 레이어의 색상이 밝아질 수 있습니다. 오버레이는 보통 상위 레이어의 색상, 명도, 채도를 하위 레이어에 더한 값으로 나타냅니다. 이로 인해 하위 레이어의 색상이 더욱 선명해질 수 있습니다.

    발광 닷지는 보통 상위 레이어의 색상, 명도, 채도를 하위 레이어에 더해주며, 특히 밝은 부분을 더욱 강조합니다. 이로 인해 하위 레이어의 밝은 부분이 더욱 밝아질 수 있습니다. 핀 라이트는 일반적으로 상위 레이어의 색상, 명도, 채도를 하위 레이어의 밝은 부분에만 적용하여 나타냅니다. 이로 인해 하위 레이어의 밝은 부분이 더욱 강조될 수 있습니다.

    하드 혼합는 대부분 상위 레이어와 하위 레이어의 색상, 명도, 채도를 각각 50%씩 반영하여 나타냅니다. 이로 인해 두 레이어의 색상이 섞여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상위 레이어의 색상, 명도, 채도를 하위 레이어에서 뺀 값으로 나타내며, 특히 어두운 부분을 더욱 강조합니다. 이로 인해 하위 레이어의 어두운 부분이 더욱 어두워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상위 레이어의 색상, 명도, 채도를 하위 레이어의 어두운 부분에만 적용하여 나타냅니다. 이로 인해 하위 레이어의 어두운 부분이 더욱 강조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합성 모드들은 그림을 그리고 난 뒤 분위기를 더욱 표현하거나 인물의 역광 및 그림자를 표현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곱하기 및 발광 닷지를 사용하면 그림에 다양한 빛 효과나 연출 효과 등을 표현할 수 있고, 컬러 비교(어두움)을 사용하면 그림에 명암을 넣어 나타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__ _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