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건강한삶
건강한삶23.09.20

간경변증 CT 또는 혈액검사로 판별?

나이
26
성별
남성

간경변, 흔히 말하는 간경화같은 경우 피검사로 나오는 간수치 등이나 CT촬영하고 그 결과로 어느정도 판별이나 의심이 가능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CT 로 간경화의 진단적 인 도움을 받을수 있습니다.

    간경화의 CT 소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간의 크기 변화: 초기에는 간이 커질 수 있지만, 진행된 간경화에서는 간 크기가 작아집니다.

    2. 간의 모양 변화: 간의 모서리가 뾰족하게 변하거나 불규칙해질 수 있습니다.

    3. 간의 조직 밀도 변화: 간의 조직이 일정하지 않게 보일 수 있습니다.

    4. 섬유화: 간 내부의 혈관 구조가 불규칙하게 보이거나, 일부 혈관이 사라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5. 정맥 확장 및 변형: 간경화 환자에서는 포탈정맥이나 간정맥의 확장 및 변형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간경화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간을 육안 및 현미경으로 관찰하지 않는 한 정확하게 진단을 내릴수는 없습니다. 즉 조직검사를 하지 않고 진단하는 것은 불완전한 방법이므로 여러 검사들을 조합해 평가해볼수 있습니다. 다만 혈액검사는 간경화가 있더라도 간기능이 유지되는 경우 특별한 이상이 없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간경화의 진단보다는 기능 평가에 사용되고 CT나 초음파 검사와 같은 영상검사를 주로 활용하는 편입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간경화는 조직학적인 용어로 원래는 조직검사로 확인하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조직검사 간을 찌르는 검사라서 실제로 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따라서 영상검사, 간탄력도검사, 혈액검사, 환자의 상태 등을 종합해서 간경화 여부를 판단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간경변은 간의 구조적 변화를 확인해야 합니다. 간수치보다는 CT나 초음파로 확인을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