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상장코인이 한달도 안되서 유의종목 지정되었는데 지금이라도 매도해야될까요?
금액이 많이들간건아닌데 조심스레 물타기하고있는데 신규상장코인이 갑자기 유의종목지정되서 20프로 또 폭락하고 마이너스-40%가되었는데 불안불안한데 유의빔이라는것을 기다리는게 나을까요? 그냥 전부매도하고 맘을 접는게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신규상장 코인 한달도 못되서 유의 종목 지정된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유의 종목이 지정되면 잘못하면 상장폐지가 될 수 있기에
가능하면 매도를 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유의가 상폐로까지 가게 될지, 가게 되면 상폐빔이 또 나올지 누구도 알 수 없습니다.
기다리거나 적절하게 손절하거나 본인 선택이지만 분명한건 손절을 잘 해야 이 바닥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는건 확실합니다.
매수할때부터 손절 기준을 세우고 지키는 연습을 해보시는게 오래 살아 남는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신규 코인의 경우 모아니면 도인데 보통은 급등 시 매도하는 것이 맞는데 이 때
오히려 매수세가 몰리면서 물리는 케이스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를 기다리기 보다는 손절을 진행하고 시총이 큰 코인에 관심을 갖는 것이
오히려 좋을 수 있습니다.
상폐빔을 기다리다가 물론 탈출 기회가 오면 좋지만 안오게 되면 그대로 휴지 조각이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신규상장코인의 경우에는 초반에 갑자기 가격이 오르다가 떨어지는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가격의 변동이 심하면 유의 종목으로 지정되게 됩니다.
이렇게 떨어진 가격은 쉽게 오르지 않기 때문에 매도 시기를 정하는것은 해당코인에 투자한 사람의 신중한 결정이 필요할것으로 보입니다.
바로 상장 폐지가 되지는 않겠지만 거래량이 너무 없다면 코인의 가격이 오르는것은 쉽지 않을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유의종목으로 지정된 경우는 보통 여러 부정적인 영향이 있어 가격이 하락 하거나 프로젝트 불이행, 법적인 이유, 기술성 등 좋지 못한 상황입니다.
상장폐지로 이어지기 전에 다시한번 해당 코인의 미래 성장 가능성이 있는지 검토후 판단해보시는게 좋습니다.
현재 이슈가 단기적인 사유인지 아닌지 말이죠.
모쪼록 잘 해결 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해당코인이 유의종목이 되었다는말은 상장폐지 정리매매를 할수 있다는것을 의미합니다 . 이는거래소에서 요구하는 소명자료에 대한것읖 제출하지 않아서라고 보며, 이러한것은 소명자료를 제출하면 해결이 됩니다. 다만 2주내에 이러한 상황이라면 차라리 정리매매를 통해 본전탈출을 하는럿도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신규 상장 후 유의 종목 지정은 보통 유통구조나 사업 정보 불투명, 내부자 거래 의혹등이 원인입니다. 지정 상태에서는 거래 정지 위험이 있어 유의빔을 노리기보단 리스크 관리 우선이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