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구조조정

느긋한돌고래111
느긋한돌고래111

대기업에서 직무급제라는 제도가 나왔던데 정말인가요? 경제가 많이 어려워서 그런건가요?

대기업에서 직무급제라는 제도가 나왔던데 정말인가요? 경제가 많이 어려워서 그런건가요?

성과가 없으면 월급도 없을거다라고 하던데요. 그냥 나가라는 뜻인건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희곤 노무사입니다.

    직무급제는 경제가 어려워서 그런것이 아니고, 그냥 나가란 것도 아닙니다.

    직무의 가치를 평가해서 임금에 반영하는 임금체계의 종류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옥동진 노무사입니다.

    직무급은 대기업 뿐만 아니라 수많은 기업에서 이미 오래전부터 일부 도입하여 활용 중인 제도입니다.

    미국이나 유럽은 대부분 직무중심 인사관리가 이루어져서 직무급이 보편화되어 있으며,

    우리나라나 일본도 최근 직무중심 인사관리를 도입하면서 직무급 비중을 늘려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직무급은 직무의 성격에 따라 임금을 산정하는 반식의 임금체계를 의미하므로, 성과급 제도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임금체계에 관계없이 최저임금이 보장되어야 하므로 근로를 제공하고 임금을 지급받지 못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범철 노무사입니다.

    직무급 제도는 과장·차장·대리 등 직책이나 호봉이 아니라, 회계·재정·기획 업무, 특정 생산라인, 기술직 등 수행하는 직무의 성격과 가치에 따라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이 제도의 취지는 횡단적 노동시장을 형성해 근로자가 사용자에게 부당하게 임금을 착취당하는 것을 방지하고, 직무의 난이도·책임·전문성에 따라 임금을 책정함으로써 능력주의 임금체계를 구현하는 데 있습니다.

    다만 ‘성과가 없으면 월급도 없다’는 개념까지는 아니지만, 특히 성과 측정이 어려운 사무직의 경우 직무급 수준을 객관적으로 산정하기가 쉽지 않아, 실제 현장에서 제도를 정착시키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직무급 제도를 도입하는 것 자체가 너 그만두라는 의미로 확대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합니다. 또한 직무급은 성과와 매칭하는 게 아니라 직무의 난이도에 따른 상대적 가치에 따라 지급하는 임금체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