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

숲을 걸으면 좋다고 합니다. 나무에서 사람에게 이로운 물질이 많이 나오기 때문일 것입니다.

숲을 걸으면 좋다고 합니다. 나무에서 사람에게 이로운 물질이 많이 나오기 때문일 것입니다.

나무에서 어떤 물질이 나오길래 사람에게 이로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느긋한칼새269
    느긋한칼새269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그건 피톤치드라고합니다. 피톤치드는 일부 식물에서 발견되는 자연물질 중 하나로, 곰팡이나 박테리아와 같은 유해한 미생물을 제거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숲에서는 나무들이 대량의 산소를 생산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함으로써 대기를 정화하며, 나무와 땅, 식물 등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같은 유해 물질을 흡수하여 대기의 오염물질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나무와 토양, 이끼 등이 발산하는 필로테크닉스물질들은 인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숲에서는 적정한 습도와 음이온이 발생하여 실내보다 공기 질이 향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1980년대 일본에서 산림욕 열풍과 함께 유행했고, 한국에도 대략 이때쯤 유입된 단어로 추정된다.[1] 다만 대중적으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1996년부터라고 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의미가 본래 뜻과 약간 달라졌는데, 침엽수에서 분비하는 테르펜(terpene)계 화합물, 특히 알파피넨과 베타피넨을 가리키는 단어로 의미가 좀 축소된 감이 있다.[2]


    러시아, 정확하게는 소련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 단어라 그런지 한국, 일본에 비해 기타 서구권에선 인지도가 높지 않은 단어다. 영미권에서는 그냥 '테르펜'(터핀)이란 단어를 주로 사용한다.


    소나무, 편백나무, 잣나무 등 침엽수에 피톤치드 발산량이 많은 편이라고 한다. 송진으로 대표되는 수지(樹脂) 성분을 이루는 물질 중 하나가 바로 피넨이기 때문이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피톤치드입니다.

    피톤치드는 식물이 만들어내는 살균작용을 하는 화합물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산림욕을 하는 산림에서는 주로 휘발성의 형태로 존재해 호흡기나 피부를 통해 인체에 흡수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피톤치드 효능은 스트레스 해소와 탈취 효과입니다. 피톤치드는 혈액 내 코르티솔 수치를 감소시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숲에서 걷는 것이 좋은 이유 중 하나는 나무에서 나오는 휘발성 물질인 필로테인입니다. 필로테인은 나무가 생산하는 자연물질로, 공기 중의 유해한 미생물을 제거하고, 인간의 면역 기능을 강화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숲에서는 산소가 많이 생산되기 때문에 신선한 공기를 마시며 걷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실내에서 느끼는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해소하고, 체력과 면역력을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숲속의 다양한 나무들중 피톤치드를 내뿜는 나무들이 많습니다.


    피톤치드는 잘 알려져있다시피 테르핀라는 물질로 구성되 어있는데요.

    향을 맡을 시 스트레스 해소, 살균작용, 삼폐기능강화,아토피 등 좋은점이 많다고 합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