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해에 걸리면 격리 입원치료를 받아야 하나요?
요즘 백일해가 유행이네요. 저희 애도 기침을 해서 토요일에 병원가서 수액 맞고 왔는데 수액을 맞아서 그런지 이틀은 기침도 안하고 그러더니 다시 어제부터 기침 때문에 잠을 잘 못자네요.
그래서 백일해 검사를 해 볼까 하는데
백일해서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라 하는데
전염성이 있다면 코로나 처럼 격리를 해야 하는건가요?
학교도 다니고 있고 동생도 있어서 혹시나 주변에서 옮지는 않을까 걱정입니다.
병원 입원치료도 하나요?
다리를 다쳐서 퇴원한지 이제 일주일밖에 안됐는데 또 입원을 해야 하나 걱정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백일해에 감염됐을 경우 3개월 미만의 영아나 기저 질환이 있는 소아는 입원 치료를 받아야 하며 항생제 치료를 받는 환자 기준으로 5일 이상의 격리가 필요하다 적절한 항생제 치료 받지않는 경우 격리기간은 3주 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백일해는 Bordetella pertussis 라는 세균성 감염으로 바이러스는
아니며 보통 예방 접종을 통해 대부분 항체가 있지만 질병 특성 상
전파력이 빨라서 2급 전염병에 속해 있습니다.
보통 5일에서 7일까지 격리와 안정을 취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백일해는 세균성 감염병으로, 전염성이 높습니다. 확진 시 항생제 치료 시작 후 5일간 또는 기침 시작 후 3주간 격리가 필요합니다. 대부분 외래치료가 가능하나, 심각한 경우 입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가족 내 전파 예방을 위해 손 씻기, 마스크 착용 등 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소아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으시길 권합니다. 가족 구성원의 예방접종 여부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궁금증이 해소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
백일해는 Bordetella pertussis 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질환으로, 발작적 기침, 구토, whooping이라는 기침 끝에 훕 하는 소리 등의 증상을 특징으로 합니다. 전염성이 강하므로 항생제 치료 후 수일 간 격리가 필요하며, 어린 영아가 아니라면 입원 치료는 꼭 필요하지 않습니다. 임상증상과 함께 PCR 검사로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백일해는 전염성이 있기에 만약 확인이 되고 항생제 치료를 받는 경우 5일간은 격리가 필요로 됩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입원치료가 필요로 될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상태확인을 위해 병원진료를 받길 권합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도움이 되신 경우 '👍 ' 눌러주길 부탁드립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백일해를 완화하거나 예방하기 위해서는 잠복기나 발병 후 14일 이내에 항생제인 아지스로마이신을 투여합니다. 3개월 미만의 영아나 심폐 질환 및 신경 질환이 있는 소아의 경우, 합병증에 따른 2차 건강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병원에 입원하여 경과를 관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1명 평가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백일해(pertussis)는 세균성 전염병으로 전염성이 매우 강합니다.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전파되므로,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백일해가 의심된다면 즉시 병원에서 검사를 받고, 의사의 지시에 따라 항생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격리의 경우, 전염성이 강하므로 학교나 공공장소에서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특히 영유아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통 항생제 치료를 시작한 후 5일 정도는 격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상태에 따라 입원이 필요할 수도 있으니, 병원에서 전문적인 상담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