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

시에서 모더니즘이 정확히 어떤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영어로 모던은 근대 또는 현대라고 되어 있던데요~ 그렇다면 모더니즘은 근대나 현대를 추구하는 사상을 뜻하는 건가요? 시에서 모더니즘이 정확히 어떤 의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모더니즘 시는 산업혁명으로 급속한 사회 문화적인 변화가 나타나던 시기에 나타난 시의 갈래로 과거와는 다른 급속한 성장과 많은 변화를 가져온 산업화와 도시의 등장 등의 영향을 받아 전통적인 질서와의 단절을 통한 새로움을 시도하며 탄생한 시입니다. 산업혁명이 순차적으로 유럽에서부터 전세계로 퍼져 나가면서 각 나라와 시대에 따라 시의 특징과 모습은 다르게 나타납니다. 모더니즘은 전통보다는 개인의 특성을 중요하게 여기며, 이성적이고 합리적이며 도덕적인 것을 거부하기도 합니다. 모더니즘 시는 박자(운율)보다는 이미지를 중시합니다. 그리고 머릿 속에 그림이 떠오르게 하는 회화성이 강조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1930년대 정지용, 김기림, 김광균, 이상 등의 시인들로 시작하여 김수영, 박인환, 김춘수,이성복 등으로 모더니즘 시를 쓰는 시인들의 계보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김기림 '바다와 나비', 김광균 '추일서정', 김춘수의 '꽃' 등의 작품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1930년대는 일본이 대공황을 극복하기 위해 조선을 공업화하기 시작한 시기이기도 했는데 그 과정에서 소외된 도시인들을 형상화한 게 모더니즘 시라고 합니다. ‘모더니즘 시’는 ‘순수시’와 달리 감정을 최대한 배제하고 지성과 시각적 이미지를 강조했는데 대표적인 시로 김기림의 「바다와 나비」, 김광균의 「와사등」, 이상의 「오감도」가 있다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