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안과

멋진큰고니26
멋진큰고니26

당뇨합병증 눈이정점 미히해져가는거같아요 좋은방 법 없을까요?

가끔 바로앞에 있는글씨는 흐릿 하게 보입니다 계속그런것이아니라 가끔씩 그런데 당뇨합병증이맞 을까요. 약이나 다른방법들이없을까요?있다면 어떤음식이나 약이좋을까요 요즘점 점걱정이많이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검붉은강아지135
      검붉은강아지135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비수술적 치료 - 혈당조절
      대부분의 당뇨병 환자는 혈당을 가능한 한 안전하게 정상범위로 유지하는 집중치료가 필요하다. 이는 1형 당뇨병, 2형 당뇨병 모두에게 해당이 된다. 당화혈색소를 평균 7%로 감소시킨 집중치료가 평균 7.9%인 보통치료에 비해 25%의 미세혈관 합병증 예방효과를 보였고, 레이저 광응고술 필요성을 29% 감소 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집중치료는 당뇨전문의, 간호사, 영양사 등의 긴밀한 협조가 절대 필요하며, 시간과 노력, 비용이 많이 필요하나 그 효과가 입증된 만큼, 가능한 한 집중치료로 혈당을 조절해야 한다.

      2. 황반부종
      황반부종은 비증식 단계에서 시력을 잃는 가장 흔하고 중요한 원인이 된다. 모든 당뇨병 환자의 약 10%에서 발생하며, 이 중 40%는 황반중심을 침범하고 있다. 치료로는 레이저 치료와 유리체강 내 트리암시놀론 주사,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유리체강 내 주사 등이 있다. 미세혈관류에 의한 국소 부위에는 국소레이저 치료를 하고, 확산누출부위와 모세혈관비관류 부위에는 격자 레이저치료를 한다. 다만, 황반 중심에 레이저 치료를 하는 것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유리체강 내 주사를 시행한다.

      3. 증식당뇨망막병증
      증식당뇨망막병증이 있는 경우 범망막광응고 치료를 시행하여야 한다. 유두혈관신생이 심하거나, 유리체 및 망막앞출혈이 있는경우, 홍채혈관신생이나 심한 모세혈관비관류가 있을 때 시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2-3회에 나누어 시행하게 되고, 한 눈 당 1200개에서 1600개정도의 레이저 응고반을 만들게 된다.

      4. 유리체절제술
      흡수되지 않는 유리체출혈, 견인망막박리, 황반 앞 출혈, 유리체 혼탁이 있는 홍채혈관신생, 황반부종, 유리체망막견인 등의 경우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하게 된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당뇨가 있다면 매년 당뇨병성 망막병증이 있는지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현재 증상은 당뇨의 합병증인지 아니면 노안이나 시력 저하인지 구분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일단 안과에 가서 확인을 해보시기를 바랍니다. 당뇨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혈당, 혈압 관리가 가장 중요합니다.

      서민석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질문자님께서는 당뇨를 앓고 계시고 가끔씩 발생하는 시야의 흐릿한 증상을 문의해주셨습니다. 우선 해당 내용만으로는 당뇨합병증, 즉 당뇨망막병증을 진단해낼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있는 상태이시고 걱정이 되는만큼 예민하게 받아들이시는 것이 바람직해 보이며, 안과를 방문하여 망막검사를 한 번 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

      당뇨망막병증에 대한 안과적 치료로는 레이저 광응고화라는 치료를 통해 당뇨로 인해 손상되어 출혈이 발생한 혈관을 응고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저탄수화물, 저당식이와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혈당을 잘 관리하는 것이 질병의 악화를 최대한 늦출 수 있습니다. 일단은 현재 질문자님의 몸 상태를 정확하게 아는 것이 급선무일 것으로 보이므로 내분비내과 혹은 안과를 방문하시어 당뇨 합병증에 대한 평가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