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라울곤잘
라울곤잘23.01.07

20개월아기 말하기는 어디까지?

20개월된아이가 아직 정확한단어를 하지않습니다.

아빠 엄마 어디있지 등빼고는 아직 말하는게 없는거같아요.

외계어?로뭐라뭐라말하긴합니다.

개월수에 맞는건 아이가 어디까지 말을어디까지해야 할까요?

그리고 어떻게 말하게 할수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마다 발달 개인차가 있어서, 특히 언어적인 부분은 편차가 굉장히 크답니다.

    이 시기쯤엔 짧은 단어 정도는 말할 수 있답니다.

    아이의 언어력 향상을 위해선, 아이 혼자 놀게 해서는 안됩니다.

    항상 부모가 아이와 함께 놀면서 상호작용을 해주시고, 책도 많이 읽어 줘야 언어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매일 매일 성장하는 것을 보는 것은 부모의 큰 기쁨입니다.

    우리 아이는 현재 직장인이 되어버렸지만 어릴적 모습들을 떠올리면 지금도 감동을 받았던 순간, 가슴아픈 순간, 행복한 순간들이 너무나 많이 떠올릅니다.

    분명, 의뢰자님께서도 나중에 저와 같은 감동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아동발달의 보편적인 발달표에 근거하면, 생후 1세(돌전)까지는 울음, 옹알이, 간단한 몸짓, 한단어(엄마, 맘마, 아빠 등)까지 발달합니다.

    돌이 지나고 18개월경이 되면 본격적으로 단어를 결합해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게 됩니다. '엄마 맘마, 까가 줘, 물 줘... '등입니다. 이 시기를 지나면서 아이들의 말문은 급상승하여 말이 많아지고 궁굼한 것이 많아집니다.

    36개월이 지나면 세 단어 혹은 그 이상을 결합해서 ' 엄마 물 주세요, 아빠 뽀뽀해 주세요...' 등 확장되고 말하는 규칙(문법이라고 말하는)도 습득하게 됩니다.

    ** 의뢰자님께서 20개월 아이의 말발달이 '아빠 엄마 어디있지'라고 하신 경우는 또래아이들에 비해 절대 느리지 않은 오히려 더 발달이 빠른 상황입니다.

    아이들은 자신이 접하는 사람(부모, 조부모, 친척 등)의 언어 습관을 따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이가 모델링(보고 듣고 따라하는 행동)할 수 있도록 지금처럼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일단은 아이가 어린만큼 엄마아빠도 말하는 등

    조금만 더 기다려보시길 바랍니다.

    아이마다 언어발달에 차이가 있고 20개월이라면

    너무 늦다고 할 수 없는 상태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대부분 9개월~12개월 정도가 되면 아기는 많은 생각을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한두단어 밖에 말하지 못합니다. 대부분 만 1세 전후로 해서 말하는 시기라 하고 늦어도 대부분 2세전에는 말을 합니다. 그리고 이내 수다쟁이가 되어 많은 말을 하고는 합니다. 조금더 기다리면 아이가 말을 잘 할 수 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언어 능력에 관한 연구들에 따르면, 아기들의 절반이 6개월 정도가 되면 말을 하기 시작한다고 한다.

    나머지 아이들은 7개월, 8개월 또는 9개월이 되면 점차 이 단계에 도달합니다.

    1개월에는 옹알이를 처음 시작해요.

    * 2-3개월이 되면 아, 오 등의 모음을 소리낼 수 있어요.

    * 4-5개월이 되면 소리를 지르고, 으르렁대기도 해요.

    * 6-8개월에는 같은 음절이 반복되는 옹알이를 할 수 있어요. 바바바, 마마마 같은.

    * 9-12개월이 되면 자기 이름을 알아듣고안된다는 말을 알아들어요.

    * 12-17개월이 되면 맘마와 빠빠 외에도 몇개의 말을 더 할 수 있어요.

    * 18개월이 되면 약 10개의 단어를 말할 수 있게돼요.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20개월에 그정도 수준이라면 개월수에 약간 비해 느린편이지만 아이마다 편차가 있기때문에 너무 조급해 하시면 아이게게 스트레스를 줄수 있습니다 때문에 계속 현상태가 지속된다면 언어치료센터를 방문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그정도면 크게 늦은 것은 아닙니다

    너무 걱정하실 팔요는 없고

    평소에 많이 연습을 시켜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