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은 왜 한국과 중국만 독점을 하고 다른 국가들은 왜 사실상 사라진건가요?
2차세계대전 그당시만해도 결국 배건조의 핵심은 유럽이나 미국에서 했을테고 일본도 마찬가지인데요 그런데 왜 현재 조선업은 일본도 사실상 망하고 한국과 중국만 전세계를 독점을 하고 있는 이 상황이 왜 발생된거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조선이라는 산업은 철강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후판이라는 철강은 매우 고부가가치 철판이며 철강업종에 있어서 조선에다가 납품하는 비중이 가장 높고 이 철강의 핵심은 결국 자동차와 조선 이 두업종이 사실상 핵심입니다
즉 자국에 철강산업이 있어야 안정적으로 조달이 가능하고 또한 철강은 물류 운송비용이 매우 비싸고 운송하는데 기간소요되다보니 이 부분이 해심입니다 그런 부분에 있어서 철강산업이 선진국은 다 붕괴가 되면서 결국 한국과 중국이 이 거대철강부분이 있고 이를 기반으로 조선산업에 경쟁력을 갖게 된 원동력이 된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한국과 중국의 경우는 국가의 발전 구조상으로 배가 반드시 필요하고 그 기술력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왔습니다
그러나 다른 국가들의 경우는 외부의 경쟁을 최대한 피하면서 오로지 본인 국가의 조선업을
위주로 키우려 했기 때문에 경쟁력을 어느순간 잃어버리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조선업은 노동집약적 산업이라 인건비가 낮고 숙련인력이 많은 한국, 중국이 경쟁력을 갖게 되었습니다. 반면, 미국, 유럽 일본 등 고임금 , 환경규제, 수익성 악화로 조선 산업을 점차 축소했습니다.
현재는 기술력, 규모 면에서 한국에 앞서며, 초대형 선박 시장을 거의 독점하는 구조가 형성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현재 중국과 한국은 세계 조선시장의 80%이상 독점하고 있습니다.
조선업은 노동집약적이며 대규모의 산업 구조가 필요합니다.
중국의 인건비 우세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은 자동화나 효율성으로 인건비를 아끼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적 지원과 기술력, 국제 규제 대응 등 종합적으로 한국과 중국이 우세하며 기존에 있던 나라에서는 조선을 포기하는 대신 고수익의 방산, 자동차, 항공 등에 집중하게 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한국과 중국만 살아남은 것이지요.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조선업이 다른 나라에서 사라지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조선업은 기술도 중요하지만
결국 노동력이 중요합니다.
즉, 인건비의 문제가 있기에 미국 등의 선진국에서는
이어가기 힘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과 중국이 조선업을 독점하게 된 이유는 두 나라 모두 정부의 강력한 지원, 대규모 설비 투자, 낮은 인건비, 철강 등 기자재 가격 경쟁력, 꾸준한 기술 개발, 그리고 생산량•납기 등 대량 건조 능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넒혀왔기 때문입니다. 한국은 고부가가치 선박에 집중해 기술 우위를, 중국은 저렴한 비용과 막대한 물량 공세로 시장을 장악하며 양국이 세계 조선시장을 양분하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유럽과 미국, 그리고 일본이 조선업 강국이었던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현재 한국과 중국이 세계 조선 시장을 사실상 독점하고, 일본 조선업이 크게 쇠퇴한 것은 복합적인 역사적, 경제적, 정책적 요인때문입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과 미국의 인건비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생산 비용이 저렴한 아시아 국가들과의 가격 경쟁에서 밀리기 시작했습니다. 유럽과 미국은 조선업보다 고부가가치 산업(예를 들면 IT,금융, 정밀기계 등)으로 산업구조가 전환되면서 조선업에 대한 투자와 관심이 줄어들었습니다. 강성 노조 문화는 생산성 저하와 높은 인건비 부담으로 이어져 조선업 경쟁력 약화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과거 기술 우위를 가지고 있었지만 아시아 국가들의 빠른 기술 습득과 혁신으로 그 격차가 줄어들었습니다. 현재는 크루즈선, 특수선 등 일부 고부가가치 선박 분야에서만 명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2차 세계대전 이후 조선업의 패권은 유럽/미국> 일본> 한국> 중국으로 이동해왔습니다. 각국의 경제 상황 변화(인건비), 정부의 산업정책, 기술 혁신 능력, 글로벌 시장 경쟁 구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현재는 한국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선박 시장을 선도하고, 중국이 물량과 가격 경쟁력으로 전체 시장을 장악하는 양강 구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과거의 영광을 뒤로하고 생산능력 부족과 인력 문제 등으로 인해 주춤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과거 미국 조선업은 세계를 주름잡았었는데, 냉전이 끝나면서 국방분야의 일감이 줄어들며 조선업 역시 실적이 악화되었는데요. 추가로 1920년에 제정된 존스법이 각종 규제와 의무 조항을 부과해 조선업의 효율성 저하와 왜곡된 구조가 고착화 됐습니다. 미국의 조선업 기술과 공급망, 노동력 등 전반적인 기반이 무너져서 더이상 경쟁력을 갖추기 어려워졌습니다. 이후 차츰차츰 경쟁력을 갖춰 나가던 우리나라와 중국에 밀려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조선업은 인건비가 많이 들어가면서도 기술력도 있어야 하는 산업입니다. 일본은 이런 고비용 구조에 대응을 제대로 하지 못해서 몰락한 반면 한국은 정부 주도로 대규모 조선소 등을 건설하면서 낮은 인건비와 우수한 기술자를 바탕으로 조선업에서 선두를 달리게 되었습니다. 중국이 이런 기술자들을 데려가고 저가 수주를 이끌어 내면서 두 국가가 조선업 시장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과거엔 유럽, 일본, 미국 등이 주도했지만 1980~90년대부터 한국이 품질과 납기 경쟁력으로 치고 올라오고 이후 중국이 값싼 인건비로 대형 수주를 가져가면서 시장이 재편됐어요.
조선업은 장치산업이라 한 번 뒤처지면 재진입이 어렵고 환경규제나 기술 트렌드가 빨리 바뀌어 지속적인 투자와 기술 축적이 필수예요.
결국 높은 기술력과 낮은 비용을 동시에 갖춘 한국과 중국만 살아남은 것이고 일본이나 유럽은 경쟁력이 떨어져 자연스럽게 도태된 거예요.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조선업의 경우 전형적인 고비용, 저마진 산업으로 가격 경쟁력과 대규모 생산 인프라가 핵심인 산업군 입니다. 한국의 경우 1980~90년대에 기술력과 품질로 세계 1위에 올랐으며 중국은 막대한 정부 보조금과 값싼 인건비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 해왔죠. 이에 반면 미국, 유럽, 일본의 경우는 고임금 구조와 환경 규제, 산업 전환으로 경쟁력을 잃고 이 후 고부가 산업으로 이동 했기 때문에 조선업에서 사실 상 철수 또는 축소 한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