괄약근이 풀린다는 말이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최근에 갑자기 배가 더부룩하고 배에 가스가 찬거 같아 방귀를 꼈는데 팬티가 져저서 감짝 놀랐어요 혹시 나이가 들면 그러는 건가요? 아님 몸에 이상이 생긴걸까요?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아무래도 나이가 들면서 괄약근의 힘이 예전보다 감소하고
그러다보면 압력이 높아지는 상황(ex: 방구)에서 실수할 확률인 높아지는 것이 아닐까 싶네요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방귀를 끼다가 조절이 잘 안되서 변이 샐 수도 있지요. 최근에 더부룩했다면 변도 약간 무르게 나왔을 것 같구요. 괄약근이 풀리는 것은 임종 전에 나타나는 증상이에요. 돌아가시기 전에 괄약근이 열리면서 대변이 많이 나오는 것이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 나이가 들면서 소화계통의 기능이 변화하고 괄약근의 통제력이 약해질 수 있지만, 이것만으로 당장의 증상을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 괄약근이 풀린다는 것은 항문 주변의 근육, 즉 괄약근이 제대로 수축하지 못하여 대변이나 가스의 조절이 어려워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시적인 증상이라면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오래지속된다면 변실금을 의심해볼수 있습니다.
변실금은 변이 자연스럽게 나오거나 변을 억제하지 못하고 발생하는 상태를 가리키는 질환입니다. 이러한 증상은 대부분 4세 이상에서 관찰되며, 3개월 이상 지속되는 딱딱한 변, 물변, 가스 등의 배변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내면 변실금으로 진단됩니다.
변실금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이에는 항문 점막의 감각 이상, 항문 수술 또는 외상으로 인한 손상, 정신적인 장애로 인해 변을 보고 싶어도 참고 있는 경우, 난산을 했을 때 변실금이 발생하는 경우 등이 포함됩니다. 여성의 경우, 질식 분만으로 다산하거나 분만 과정에서 변실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외음부 신경 장애, 괄약근 손상, 중추신경 장애, 말초신경 장애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변실금은 노인 및 만성 질환 환자, 특히 65세 이상 여성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증상의 심각성은 변의 상태(고체, 액체, 가스) 및 조절 불능 빈도, 패드 또는 기저귀 사용 빈도, 일상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다릅니다. 수동적인 변실금은 환자 스스로 변을 보거나 속옷에 변이 묻어 있는 경우를 나타냅니다. 절박한 변실금은 변을 참지 못하고 변이 나오는 경우입니다.
변실금을 진단하기 위해 여러 가지 검사가 시행될 수 있습니다. 항문 초음파 및 항문 내압 검사는 항문 괄약근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고 변실금 원인을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배변 조영술 및 근전도 검사도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자기공명검사(MRI)는 관련 기관 및 질환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변실금의 치료는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식이 요법은 음식물 섭취 일지를 작성하여 변실금 증상을 악화시키는 음식을 식단에서 제한하는 방법입니다. 약물 요법은 변실금에 따른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변 팽창성 약물 및 변 연화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근전도 검사와 같은 검사 결과에 따라 치료 방법을 결정하기도 합니다.
변실금의 치료법 중 일부는 회음부 운동, 바이오피드백 치료, 전기 자극 치료 등이 포함됩니다. 심각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이 때 괄약근 교정술, 괄약근 성형술, 후방 항문 교정술, 인공 항문 괄약근 조성술과 같은 수술 절차가 고려될 수 있습니다.
변실금은 적절한 치료 없이 방치되면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정신적인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항문 피부 자극과 관련된 항문 소양증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피부 감염, 방광염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변실금은 적시에 치료하고 관리해야 하는 중요한 질환 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