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수도권 중심으로만 도시를 발전시킨 이유는 무엇일까요?
한국은 현재 지방소멸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요, 그렇게 된 이유가 그동안 너무 수도권 중심으로만 도시 개발을 진행한게 크다고 봅니다. 한국이 수도권 중심으로만 도시를 발전시킨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구자왕 입니다.
수도권에 제2기, 제3기 신도시 발표를 하면서
증가되는 인구에 맞춰 기업 유입을 위해 발전시킨다는 개념이 맞아 보입니다.
수도권 중심으로만만 도시를 발전시킨다는 개념이 아닙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서울의 면적은 한계가 있고 서울의 집값이 계속 오르니 수도권까지 더 개발을 시키고 젊은 세대들은 집을 사서 수도권으로 이전을 많이 했습니다
또 일자리를 찾아서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인구가 유입이 되다보니 지방은 감소된 상황입니다
수도권에 대기업들이 많이 있으니 일자리를 찾아 젊은 세대들은 많이 오는거 같습니다
지방도 양질의 일자리와 함께 삶의 질을 높일수 있는 문화 여건이 갖춰진 균형있는 발전이 필요할거 같습니다
우리나라가 수도권 중심으로 가고 있는 이유는
첫번째 인구가 줄어들고 학생수가 줄어들면서 갈수 있으면 되도록 서울에 있는 대학교 갈려고 합니다. 지방 대학들은 지금 미달 투성이 입니다. 그리고 정부 기업 또한 수도권이 집중적으로 있다보니 일자리 또한 수도권에 집중 되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어쩔수 없이 수도권으로 몰리고 그럼 세금이 많이 걷히겠죠. 그럼 그 세금으로 서울 인프라 건축하고 도시를 발전시키는데 사용합니다. 즉 교육 일자리가 수도권을 집중되어져서 지방소멸위기입니다. 국토균형발전을 위해 교육 기업 정부기관을 시급히 전국적으로 재배치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