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개혁과 경제변화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그동안 세계에서 여러 나라들이 화폐개혁을 한것으로 아는데요.
왜 화폐개혁을 하는지 그리고 화폐개혁사례와 이후에 경제는 어떻게 변화하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북한도 화폐개혁을 하였지만 완전한 실패로 돌아갔다고 하는데 그이유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화폐개혁은 경제적인 효용성이 떨어지는 구화폐의 유통을 정지시키고 거래에 사용하는 것에 제약을 둔 뒤에, 효용성이 더 높다고 판단되는 신화폐를 발행하여 구화폐를 강제로 대체시키는 것인데요.
화폐 개혁을 하는 이유는 화폐의 액면가를 하향하여 화폐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하는데요. 추가적으로 개인이 금고에 묵혀둔 화폐를 시장으로 빼기 위하여 화페개혁을 하거나, 국민들이 들고 있는 화폐가치를 고의로 줄이기 위하여 화폐개혁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009년 북한의 화폐개혁은 김정은이 김정일의 후계자로 공표되는 과정에서 발생했는데, 실행 이후 채 1년이 안 되어 북한 경제를 사실상 박살 내버렸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화폐개혁을 하는 이유는 과도한 물가상승을 억제하고 화폐 가치를 안정화 시키기 위해서이며, 국제 거래와 금융거래 편의성을 위해 진행합니다.
북한의 경우 2009년 화폐교환할때 일정 금액 이상 교환할 수 없는 등 제한을 통해 상업 거래 마비와 자국의 화폐대신 외화를 선호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국민들의 신뢰도와 오히려 빈부격차 심화가 되는 결과를 초래하였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화폐개혁은 주로 고통스러운 인플레이션이나 경제적 불안을 해결하기 위해 시행되며, 새로운 화폐 단위 도입을 통해 경제 재건을 목표로 합니다. 주요 사례로는 독일의 1948년 화폐개혁과 2009년 북한의 화폐개혁이 있습니다. 독일은 성공적으로 경제 회복을 이뤘지만, 북한은 중앙집권적 통제와 불투명한 정책으로 실패하게 되었습니다. 북한의 실패 원인은 신뢰 부족과 경제 구조적 문제로, 화폐개혁이 오히려 경제 위기를 심화시킨 결과를 낳았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북한도 지난 2009년 화폐 개혁을 진행했고 완전히 실패 하여 주도했던 이들이 대규모 숙청을 당했습니다.
일반적으로 화폐 개혁은 자국 통화의 단위가 너무 커서 국내외 통화 사용 시 혼선이 커서 단위를 줄이는 게 주요한 목적 중에 하나입니다.
그러나 충분히 준비하지 못한 화폐 개혁은 북한처럼 물가 상승을 초래하여 경제에 내상을 입힐 수도 있습니다. 한국의 원화도 단위가 높아 화폐 개혁 이슈가 잊을만하면 나오나 쉽게 추진을 하지 못하는 것은 자산 가격 상승 등 경제 전반의 물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어서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화폐개혁에 대한 내용입니다.
한국의 화폐개혁을 사례로 보자면 1953년에 있었던 화폐개혁은
한국 전쟁 중에 남발된 통화와 그에 따른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
화폐개혁을 실시하게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