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24.04.04

한번씩 자동차 머플러에 물떨어지는데 왜그런거죠?

원래 연기가 나와야 하는데요. 앞차들 달릴 때 보면 물이 줄줄줄 떨어지더라고요. 이거 이럴 수 있다는데 과학적으로 어떤 현상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연료에는 탄소와 수소가 모두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 중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말씀하신 것 처럼 수증기도 생성하기 때문에 충분히 물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 머플러의 경우 연료가 연소하면서 물이생성되는데 이게 타고 흘러 내려오는거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우리가 쓰는 휘발유, 경유는 그 안에 탄소도 있고 수소도 있습니다.

    석탄 등 화석연료는 탄소, 수소, 질소, 황 등 다양한 물질이 결합한 상태입니다.

    이러한 화석연료가 연소를 하면 산소와 결합해 C+O2 -> CO2, H+O2 -> H2O(물) , 황산화물, 질산화물 등이 생성됩니다.

    이 중 물은 수증기의 형태로 가스화 되어 배출되게 됩니다.

    이게 배관에 고여 물로 뚝뚝 떨어지기도 하고 겨울날 배기구에 연기가 자욱하게 보이게 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머플러는 소음을 줄여주며, 엔진에서 발생하는 가스 를 차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머플러에서 나 오는 액체는 물로 지극히 일반적인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머플러에서 발생하는 휘발류에 포함된 수소와 공기 중에 산소가 만나 연소하게 되면서 물이 생기는 것입 니다.

    대부분 수증기로 날아가지만, 공회전을 오래했거나, 배기압력이 낮을 경우에는 머플러에 물이 쌓이게 되 는데, 그 후에 배기압력이 높아지면 쌓인 물이 배출되 게 됩니다.

    출처 : 공임나라 - 자동차 머플러에서 물이 떨어지는데 정상인가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 엔진이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배기구를 통과하면서 주변 공기와 접촉하여 응축되어 물로 변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연소가 잘 되면 더 많은 수증기가 생성되어 배기구에서 물이 떨어지는 양이 많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소가 잘 되면 물이 떨어지는 양이 증가하는 것은 정상적인 현상이며, 엔진이 효율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 머플러에서 물이 떨어지는 것은 엔진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응결되어 생기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휘발유 연소 과정에서 수소와 산소가 결합하여 물이 생성되며, 이는 배기가스와 함께 머플러로 배출됩니다. 엔진이 차갑거나 습한 환경에서는 물이 더 많이 생성되어 눈에 띄게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머플러에 수증이가 맺혀서 떨어지는 것인데 엔진내부에서 연료를 사용하여 폭발이 일어나는데 이때 산소와 수소가 결합하여 물이 생성되는데 이것이 머플러로 흘러내리는 것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