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문학작품에서 행위상징과 인물상징은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문학작품에서 사용되는 기법중

상징법에는 행위상징과 인물상징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행위상징과 인물상징은 서로 어떤 차이점이 있는 건가요?

행위라는 것은 결국은 인물의 행동에서

비롯된 것인데 서로 떼놓기는 애매한 것 같아서요

인물상징과 행위상징의 경계선은 어떤 것이 기준이 되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행위상징과 인물상징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추상적인 개념이나 감정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데 행위상징은 구체적인 사물이나 현상을 통해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냅니다. 행위상징은 원관념을 숨기고 보조 관념만으로 의미를 표현하고 있는데 이것은 비유와는 다른 상징만의 특징 입니다. 이에 반해 인물상징은 특정 인물이나 캐릭터를 통해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냅니다. 인물상징은 작품 내에서 특정 인물의 행동, 외모, 성격 등을 통해 의미를 전달하게 됩니다. 이물 상징과 행위상징의 경계선은 애매 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다르지요.

    성격이나 외모는 행위가 아니자나요?

    상징이 알기 쉬운 고전설화로 예를 들자면

    놀부는 뚱뚱하고 못생긴 외모라는 인물상징으로 욕심쟁이 인 것을

    제비 다리를 일부러 꺾어버리는 행위상징을 통해 인과응보에 당할것을 표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