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색다른콜리160
색다른콜리160

노후에 필요한 자금 평균은 얼마정도인지 궁금해요?

노후 준비를 하는데 필요한 자금이 평균적으로 어떻게 되는지 앞으로 물가상승까지 고려해서 퇴직후 얼마를 갖고 있어야 되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노후자금 얘기는 들을 때마다 숫자가 너무 커서 깜짝 놀라게 됩니다. 우리나라에서 공적기관들이 조사한 자료를 보면 보통 부부 기준으로 월 250만 원에서 300만 원 정도 생활비가 든다고 합니다. 그럼 30년 정도를 잡으면 최소 9억 원에서 10억 원 가까이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물론 집을 자가로 보유했는지, 의료비 부담이 얼마나 되는지에 따라 차이는 꽤 크다고 보입니다. 또 물가가 매년 조금씩 오르니 지금 잡은 금액보다 더 필요할 수 있다는 얘기도 많습니다. 그래서 단순 평균치만 믿기보다는 본인 상황에 맞춰 조정하는 게 맞다고 판단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노후에는 일을 하여 자산을 만들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돈을 벌 수 있게

      세팅이 되어야 합니다

    • 그렇기 때문에 이자나 배당을 받으면서 이를 만들 수 있는 자산을 보유 하는 것을 목표로 하시길 바랍니다.

    • 따라서 내가 1년에 사용하는 자산의 25정도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면 꾸준히 3~4% 정도 배당이나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자산을 투자하면 노후대비가 끝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대체적으로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1인가구 기준으로 최소금액은 150만원 2인부부는 220만원 적정규모는 1인기준 인 200만원, 부부 300만원이며 여유기준으로는 1인 280만원, 부부 400만원으로 여행도 가고 여유롭게 쓰는 금액기준입니다.

    보통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말하기를 현재 생활비의 70~80%수준을 적정생활로 보면 된다고 권고합니다. 그리고 여기서 인플레이션 정도를 감안해서 매년 3.5~4.5%를 추가적으로 더해서 매년 금액을 진단해서 보시고 이를 매년 얼마나 될지 엑셀로 표로 계산해서 보는것도 방법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기준으로 2인 가구의 월평균 최소 생활비는 240만원으로 산정되는데요. 여기에 물가상승률(연 3% 가정)을 반영하면, 10년 후에는 월 323만원 정도가 필요할 것 같고, 노후까지 그 이상의 기간이 소요된다면 더 많은 금액이 한 달 생활비로 쓰여야 할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노후에는 질환이 하나씩 있을가능성이있고 이에대한 치료비, 그리고 여행을 가거나 또는 다양한 먹거리를 위해서도 돈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들을 위해서도 최소한의 자금이 약 2-3억 이상의 자금이 있는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보험이나 각종 돈을 모아서 노후를 준비하시는것이 도움이 됩니다.

    다만 3억 정도를 모으기 힘드니 각종연금이나 보험을 드는것으로 일정 부분 대체를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노후에 필요한 자금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개인마다 상이합니다.

    일단 먼저 본인이 어떤 소비 성향을 지녔는지를 파악하고

    그 월간, 연간 소비액수를 파악해서

    노후 자금을 알아보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