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 GM ⠀
⠀ GM ⠀

미국에 경기침체가 온다면 세계경제에 어떤 영향을 끼치나요?

안녕하세요.

미국은 거의 매년 2%씩 경제 성장을 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것이 꺾여 경기침체로 들어가게 된다면 세계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에 경기침체가 온다면 전 세계에 큰 하락이 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경기침체에 따른 자금회수 등이 발생하면 결국 보수적인 접근으로 사람들의 자금이 활용되지 않을 것이라 내수경제가 얼어붙을 것이기 떄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기침체에 대한 회복방안으로 현금화를 위한 대출이자 낮추기 등의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이것이 매번 효과가 좋은 것은 아니라서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에 경기침체에 대한 내용입니다.

    흔히 말로 미국이 기침을 하면 전세계가 독감에 걸린다고 하던데

    그런 모습이 나올 것입니다.

    미국 경기침체가 나오면 세계 경제는 경기침체 이상으로 나빠질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경기 침체는 세계 경제에 걸쳐 광범위하고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첫째, 글로벌 무역이 크게 위축될 수 있습니다. 미국은 세계 최대 수입국이기 때문에, 미국 내 수요 감소는 중국이나 독일처럼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의 경제 성장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실제로 UNCTAD는 2025년 세계 경제 성장률을 2.3%로 전망하며, 이는 2008년 금융 위기에 버금가는 침체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둘째, 글로벌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이 증폭될 수 있습니다. 미국 주식 시장의 급격한 하락은 전 세계적인 자본 유출과 변동성 확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미 호주나 유럽 등 주요 국가들의 주가도 하락하며 투자 심리가 위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셋째,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더욱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한 무역 갈등이 심화되면, 많은 다국적 기업들이 생산 기지를 이전하거나 공급망을 단축하려는 움직임을 보일 것입니다. 이는 신흥국에 대한 투자 감소와 함께 중국 중심으로 무역 질서가 재편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넷째, 인플레이션이 국가별로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미국은 관세로 인해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는 반면, 유럽이나 중국 등은 수출 감소로 인해 오히려 디플레이션 위험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IMF 역시 미국의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한 바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달러 강세가 지속될 경우, 달러 표시 부채 비중이 높은 아르헨티나나 터키와 같은 신흥국들은 외환 및 재정 위기에 다시 직면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미국의 경기 침체는 글로벌 성장률 하락, 무역량 감소, 제조업 경기 악화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2025년 세계 경제를 2008년 이후 최악의 침체로 몰아넣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경기침체에 들어가게 된다면 세계경제에도 큰 충격을 주게 됩니다.

    미국은 세계 최대 소비국이라서, 미국 수요가 줄면 다른 나라의 수출도 줄어들게 되며

    미국 증시가 흔들리면 전 세계 증시와 자산시장도 하락하게 됩니다.

    또한 안전자산인 달러로 쏠림이 생겨, 신흥국 통화 가치가 하락하는 결과로 이어지게 됩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만약 전세계 경제를 좌지우지하고 있는 미국이 경기침체를 겪게된다면 전세계 경제가 대공황때처럼 역성장 등 암울한 상황에 직면할 것입니다. 생활이 어려워지고 소비는 줄어들어 더더욱 생계가 어렵다고 피부에 와닿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본격적인 경기침체에 닿으면 글로벌 경제는 큰 충격에 빠지게 되며 수출 주도 산업 구조를 지닌 한국, 일본, 대만, 독일 등 주요 제조 강국들 또한 바로 침체에 빠지게 됩니다. 이는 제조 하청 인프라가 운영되고 있는 개도국에도 충격을 주게 되어 글로벌 경제 전체가 깊은 침체에 빠지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우려스러운 부분은 미국의 2025년 1분기 경제가 소폭 역성장 한데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