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지친하루를견디자
지친하루를견디자

외화결제가 지연되는 경우 무역계약상 어떤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나요?

수입자가 대금 결제를 지연하면 무역계약의 위약조항 발동, 환율 손실, 이자비용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합니다. 무역 기업이 외화결제 지연에 대비해 실무적으로 어떤 조항을 포함시키는 것이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장수한 관세사입니다.

    매우 중요한 질문입니다. 외화결제가 지연되면 무역계약상 다음과 같은 다충적 리스크가 발생하며, 이에 대비해 계약서상 구체적인 조항 삽입이 필수적입니다.

    외화결제가 지연되면 계약 위반 리스크, 환율 리스크, 이자 손실 및 금융비용, 신용도 하락 및 거래 단절 위험, 관세 및 통관 문제가 대두됩니다. 따라서, 실무적으로 계약서에 꼭 명기해야하는 사항들이 몇 가지가 있는데요. 결제기한 명시조항, 지연이자 조항, 환율 리스크 부담 조항, 계약해지 및 위약 조항, 분쟁해결조항 등이 있습니다.

    계약서에 이렇게 잘 명기만 해두어도 나중에 법적 문제가 생겼을때 유리한 고지를 점유할 수 있게 됩니다. 외화결제 지연은 단순한 회수 지연을 넘어 환손실, 법적 책임, 신용 붕괴로 이어질수 있기 때문에 계약 단계에서 꼭 잘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수입자의 외화결제가 지연될 경우를 대비해 계약서에는 지연이자 조항을 넣고, 일정 기한 초과 시 물품 인도 거절이나 계약 해제 가능성을 명시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환율 변동이 클 경우를 대비해 환차손 부담 주체를 분명히 정해두는 것도 필요합니다. 또한 분쟁 발생 시를 대비해 중재 기관이나 준거법을 사전에 정해두면 향후 분쟁 대응이 훨씬 수월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외화결제가 지연되면 일단 수출자의 입장에서의 위험이 많이 노출될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이는 계약위반에 따른 환율변동에 따른 손실, 현금흐름 악화 등 다양한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무적으로는 지연이자의 부과나 담보권설정, 소유권 유보, 분쟁해결 절차 명시 등 구체적 조항을 통해 대응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외화결제가 늦어지면 수출자는 진짜 난감해집니다. 계약서상에 페널티나 지연이자 같은 거 안 넣어두면 나중에 손해봐도 강하게 대응하기 어렵고요. 환율이 결제 지연되는 사이에 변동되면 차액 손실도 생기고, 그 사이 운영자금 막히는 경우도 흔합니다. 그래서 실무에서는 LC 조건에 결제일 명확히 적고, T/T 조건이면 송금기한 넘기면 연체이자 부과 조항을 꼭 넣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필요하면 신용장 조건 안에 서류제출 기한이나 자동결제 조건 넣어서 리스크 좀 줄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