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그래도잠이없는공작
그래도잠이없는공작
25.04.14

입안의 편도를 건드렸더니 피가 철철 나와요.

나이
40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축농증 치료제
기저질환
축농증(부비동염)

축농증에 걸릴때면 꼭 편도결석이 생겨요.

평소 구취가 없는 편인데 이 시기에는 입안에 구취가 도는걸 느껴요.

그렇게 입안을 확인해보면 아니나다를까 육안으로도 편도가 박혀있는게 보여요.

그럴때마다 끝이 둥근 쇠젓가락으로 살짝 건드려 편도만 빼내주곤 했어요.

빼주고 나서 호기심에 옆에 있던 새면봉으로 편도를 꾹 눌러봤더니 톡하고 터지는 느낌이 나요.

그러곤 피가 철철 흐르는데 제가 무엇을 건드린걸까요?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편도결석을 터트린걸까요?

※결석때문에 임의로 편도를 건드리면 안된다는건 충분히 알고 있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둥근 쇠젓가락으로 편도를 건드리거나 면봉으로 누르셨을 때 피가 난다면, 육안으로 보이는 편도결석 주변의 편도 조직이나 점막에 상처를 입혔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편도 조직은 혈관이 풍부하기 때문에 작은 상처에도 출혈이 발생할 수 있어요.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깊숙한 곳에 있던 작은 혈관이나 염증 부위를 건드렸을 수도 있구요

    편도결석 자체가 터지면서 피가 나는 경우는 드뭅니다. 편도결석은 칼슘, 마그네슘 등의 무기물과 세균, 음식물 찌꺼기 등이 뭉쳐진 작은 덩어리이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편도결석을 빼내려고 시도하는 과정에서 날카로운 도구나 과도한 힘 때문에 편도 조직이 손상되어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임의로 편도를 건드리는 것은 감염이나 염증을 악화시키고, 출혈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위험한 행동입니다. 지속적으로 편도결석이 생기고 불편함이 있다면, 자가로 제거하려 하지 마시고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안전한 치료 방법을 상담받으시는 것이 좋을 듯 해요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