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직 연차 기준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 유학생 근무자 연차휴가 산정 > _ 회계년도 기준
주14시간 근무를 기본 근무조건으로 하여 2024.04.30 입사
방학 기간 동안만 주40시간 근무 ( 2024.06.28~2024.08.27 / 2025.02.10~2025.02.28 )
2025.06.01. 부터는 주24시간 근무로 근무 조건 변경
방학 기간인 2025. 07~08월만 다시 주40시간 근무 (2025.07.01~2025.08.31.)
연차휴가의 1일당 시간은 근로시간에 따라 주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면 주 24시간 근무 시 연차 적용시간은 4.8시간 인가요
2025.07.30. 현재 기준 연차 개수 및 연차휴가 1개의 시간?
그리고 40시간 근무시 1년이 넘었으니 시간 상관없이 연차 1일 적용하는지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구고신 노무사입니다.
연차휴가 1일당 근무시간 산정
주 24시간 근무 시 1일치 연차휴가 시간은, 주24시간을 5일로 나눠서 산정하면 됩니다
때문에, 4.8시간 으로 산정하는 것이 맞습니다. 즉, 1일 연차휴가는 4.8시간 휴가로 처리합니다.연차휴가 개수 산정 및 적용 사례 (2025.07.30 기준)
주 14시간 근무 → 방학기간 중 주 40시간 근무 → 이후 주 24시간 근무
연차휴가는 근무시간 비율에 따라 시간 단위로 발생하며, 대체로 연 15일 기준(주 40시간기준)을 기준으로 비례 계산합니다.
예) 1년 넘은 근로자의 경우 15일 × (주 근로시간 ÷ 40시간) × 8시간 공식에 따라 연차시간 산정 가능.2025년 7월 30일 현재까지 입사일(2024.04.30)부터 1년 이상 경과했으므로 총 연차휴가는 15일이 발생하며, 근무시간에 따른 시간 비율로 환산하면 됩니다.
주 40시간 근무 시 연차휴가 1일 적용 여부
연차는 1년 이상 근속 시 15일(통상 근로자의 경우) 보장되며, 근무시간이 주 40시간이라면 1일 연차휴가는 8시간으로 적용됩니다. 즉, 40시간 근무 시 시간과 상관없이 연차 1일은 8시간으로 처리합니다.회계연도 기준 산정
연차휴가 관리가 입사일 기준 대신 회계연도(예: 1월1일~12월31일) 기준으로도 가능합니다. 다만, 개별 근로자에 불리하지 않아야 하며, 회계연도 기준 산정시 퇴직 시 미달 부분은 수당으로 정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