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꼼꼼한얼룩말134
꼼꼼한얼룩말134

건설사는 담보없이 대출이 가능한가요?

자영업자나 프리랜서 대출은 까다롭고 잘안되고 금리도 높은데

왜 건설사는 담보없이 대출이가능한건가요?

건물짓다 부도나면 어떻게 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건설사의 경우 담보없이 대출이 가능한 것은 아니며 보통 건설을 하는 토지를 담보로 대출을 진행하며 건축의 경우에는 '건물담보 제공확약서'를 제공한뒤에 대출을 진행하게 되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건설사가 담보없이 대출받을 수 있는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건설사들은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정부 또는 대형 기업과 계약을 맺습니다. 이런 계약은 은행에게 건설사가 수익을 내는 안정적인 기반이 되어 신뢰를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건설사들은 진행하는 프로젝트의 미래 가치를 담보로 제시할 수 있는데 자영업자나 프리랜서들이 제공할 수 없는 어려운 담보입니다.

    그러나 건설사가 부도가 나면 상황이 복잡해 지는데 프로젝트 중단과 은행의 대출금 회수를 위해 남은 자산에 대해 권리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이해관계자들끼리 법적 분쟁이 발생합니다. 결국 건설사 대출은 높은 수익성을 기대하지만 그만큼 리스크도 큽니다. 이런 리스크로 은행은 건설사 대출을 신중하게 결정하고 대출 조건도 엄격하게 설정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건설사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PF대출을 받습니다.

    PF대출은 해당 프로젝트의 사업성을 근거로 평가하기 때문에 장래에 발생할 현금 창출에 주목합니다.

    건물 짓다가 고금리 여파에 따라 부도가 나게 되면, 건설이 중단되고 이해관계인이 복잡하게 얽혀 여러 소송 등이 진행됩니다.

  • 질문하신 건설사는 담보 없이 대출이 가능한가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건설사는 프로젝트 파이낸싱이라고 해서 PF 대출을 하게 되는데

    이는 다른 대출과는 별도로 담보물이 프로젝트 자체가 됩니다.

    그렇기에 완공한 이후 분양에 실패하면 큰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 아마 건설사에 주로 하는 대출인 프로젝트파이낸싱을 말씀하시는 거 같은데요.

    프로젝트 파이낸싱은 신용도나 담보 대신 사업계획, 수익성 등을 보고 인프라 및 산업 프로젝트의 장기자금을 제공하는 대출입니다. 일단 토지가 확보되면 토지를 신탁형식으로 담보를 잡고 앞으로의 사업계획을 면밀히 검토해서 대출 여부를 결정합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시공사, 즉 건설회사의 시공능력과 자체자금으로 사업을 완공할 수 있는 지 여부입니다. 또 건물의 완공을 보증하는 완공보증제도도 있습니다.

    대형 건설사인 경우 수천억 정도의 자금은 자체조달이 가능하니까요.

    일단 아파트, 대형 상가 건물이 완공되면 그 물건이 전부 팔려나갈 때까지 담보로 잡게됩니다.

  • 건설사라고 무조건 담보없이 대출이 되지는 않습니다. 유명한 건설사가 아닌, 이름없는 소규모 건설사의 경우 담보까지 제공해도 대출이 거절당하는 경우가 부지기수 입니다.

    혹여 담보가 필요 없더라도 대신 '신용'을 기반으로 대출을 합니다.

    은행은 해당 건설사를 살펴보아, 굳이 담보를 잡을 필요가 없을 정도로 신용(이때 말하는 신용은 단순 신용등급이나 점수를 말하는 것이 아닌 자체산정한 신용 등급/점수를 말합니다.)이 높으면 담보를 제공받지 않고 대출을 진행해 줍니다.

    또한 건물을 짓다 부도가 날 경우, 해당 건설사의 남은 자산들(회사의 본사건물, 원자재, 무형자산 등등)을 압류함으로써 손실을 메꿉니다.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상으로 답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본인이 경험 또는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직접 작성한 정보글로, 단순 착오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아무래도 미래의 현금 흐름 등을 담보로 이에 따라서 건설사에서 대출이 가능한 것입니다.

    이러한 대출이 PF 대출이며 최근에 건설사 등이 이자도 납부도 하지 못하면서 금융기관들이

    부실화된 다는 기사가 계속 나오는 것입니다.